지난해 혼인건수가 역대 최저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혼인·이혼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건수는 28만1600건으로 전년(30만2800건)보다 7.0%(2만1200건) 감소했다.

이는 1974년 혼인건수가 25만9100건을 기록한 이후 가장 낮은 수치다. 인구 1000명당 혼인건수를 나타내는 조혼인율도 지난해 5.5건으로 1970년 통계 작성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혼인 감소의 이유는 무얼까.

01. 경기불황에 따른 실업률 증가

지난해 15~29세 청년실업률은 9.8%를 기록하며 통계집계 이후 역대 최고치로 치솟았으며 전체 실업자는 100만명을 돌파했다. 이렇듯 20~30대 실업률이 증가하고 전월세 가격이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상승하는 등 결혼과 관련된 경제적 여건이 나빠진 점은 혼인감소의 지렛대 역할을 하고 있다.

 

02. 취업연령 늦어져

고용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취업 재수, 삼수가 기본에 이를 만큼 직장에 취업하는 시기가 늦어지는 점도 결혼감소의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지난해 남자의 평균 초혼 연령은 32.8세였으며 여자의 초혼 연령은 30.1세로 조사됐다. 이는 10년 전에 비해 남녀 각각 1.8세, 2.3세 늦어진 것이다.

 

03. 결혼적령기 인구감소

주 혼인 연령대인 20대 후반과 30대 초반의 인구가 전년 대비 17만명가량 감소한 것도 지난해 결혼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남녀별로는 각각 2.1%, 2.7%씩 결혼적령기 인구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됐다.

 

04.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

시대의 흐름에 따라 결혼에 대한 인식도 변화했다. 2016년 통계청 사회조사 결과를 보면 2000년 이전까지 미혼 남자 중에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10명 중 7명이었으나 2014년의 경우 이 수치가 10명 중 5명으로 줄었다. 2014년은 혼인건수의 급격한 감소가 시작된 해이기도 하다. 결혼을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보다 미혼 남자 중 결혼을 하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하거나, 해도 그만 안 해도 그만이라고 생각하는 비중이 더 많아진 점 등이 결혼 감소의 원인으로 꼽힌다.

사진출처= 픽사베이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