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초미세먼지(PM-2.5) 중 국내 영향으로 발생한 것은 절반가량이고 32%는 중국에서 비롯한 것이라는 한국, 중국, 일본 3국의 첫 공동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평균 농도를 기준으로 한 이번 연구 결과에서 밝혀지지 않았지만, 겨울철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에는 국외 영향이 커지며 국내 미세먼지 중 중국발 요인이 70%에 이르는 것으로도 파악됐다.

사진=연합뉴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20일 한·중·일 3국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책 결정자를 위한 ‘동북아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국제 공동연구(LTP)’ 요약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대기 질 모델 기법을 이용해 한국 3개 도시(서울, 대전, 부산)의 국내외 초미세먼지 발생 요인을 분석한 결과, 국내에서 비롯한 요인(자체 기여율)이 51%, 국외 요인이 49%로 나타났다.

국외 요인으로는 중국발 32%, 일본발 2%였고 나머지는 북한, 몽골, 동남아시아 등에서 비롯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에 산출한 기여율은 2016년 서울만을 대상으로 국립환경과학원과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공동으로 기여도를 분석한 결과(국내 52%, 국외 48%)와 유사하고 2015~2016년 서울시가 자체 분석한 결과(국내 45%, 국외 55%)보다는 국내 자체 기여율이 높게 나왔다.

3국 공동 연구에서 중국(베이징, 톈진, 상하이, 칭다오, 선양, 다롄)의 초미세먼지 가운데 중국 자체적으로 발생한 먼지는 91%였다. 한국발은 2%, 일본발은 1%에 불과했다. 일본(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초미세먼지 55%는 일본에서, 25%는 중국, 8%는 한국에서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그러나 연평균이 아닌 12~3월 등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로 한정해 보면 국외 요인, 특히 중국발 요인의 영향력은 더 확대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실제로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올해 1월 11~15일 미세먼지 고농도 시기에 전국 미세먼지 중 국내 요인으로 발생한 것은 18~31%, 국외 요인에서 비롯된 것은 69~82%를 차지한다고 조사된 바 있다. 2000~2017년 모니터링 결과 3국 모두 황산화물, 질소산화물, 미세먼지(PM-10), 초미세먼지 농도가 하락세인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2015년 대비 지난해 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의 경우 한국은 12%, 중국은 22% 하락했다. 일본은 2015년 대비 2017년 농도가 12% 낮아졌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