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5곳 중 4곳이 조직 내 핵심인재와 요주의 직원을 따로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들은 핵심인재의 가장 큰 특징으로 ‘높은 직무 능력’을 꼽은 반면 요주의 직원들은 ‘기대에 못 미치는 낮은 성과’를 특징으로 꼽았다.

잡코리아가 최근 인사담당자 554명을 대상으로 ‘조직 내 핵심인재’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먼저 인사담당자들에게 ‘사내에 다른 직원과는 별도로 관리하는 핵심인재가 있는지’를 물은 결과 51.6%가 ‘그렇다’고 답했다. 핵심인재 직급을 물은 결과 △대리급이 47.2%(응답률 기준, 복수응답 결과)로 절반에 가까웠다. 이어 △과장급이 37.1%로 높았으며, △주임급(26.9%), △사원급(25.5%)의 순으로 나타났다.

별도의 관리가 필요한 핵심 관리대상 즉 요주의 직원도 있었다(51.3%). 요주의 직원은 사원급에서 가장 많았다(50.7%). △대리급(34.1%) △과장급(27.8%) △주임급(27.0%)을 꼽는 응답도 이어졌다.

핵심인재를 구분하는 기업의 가치는 태도보다 성과 중심으로 달라졌다. ‘직무 관련 이해, 능력이 우수(49.3%, 응답률)’하거나 ‘기대 이상의 높은 성과(36.4%)’를 내는 직원이 핵심인재의 두드러진 특징이라고 꼽았다. ‘능숙한 대외 커뮤니케이션(35.0%)’ ‘책임감(32.5%)’ ‘애사심 및 조직결속에 기여(26.2%)’ ‘변화에 능동적이며 혁신적(25.5%)’인 특징도 꼽혔다.

요주의 직원들의 두드러진 특징은 ‘기대에 못 미치는 낮은 성과(35.6%)’와 ‘책임감 부족, 잦은 실수(35.2%)’가 대표적이었다. 여기에 ‘비슷한 업무, 맡겨진 업무만 반복하고 발전이 없다(32.6%)’ ‘직무 관련 이해 부족, 능력 미숙(31.1%)’ ‘근거 없는 소문의 출처 또는 유통경로가 된다(23.0%)’ ‘대외 커뮤니케이션이 미숙하다(19.3%)’ ‘근태관리가 엉망이다(17.0%)’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한편 기업 80.9%는 핵심인재와 요주의 직원을 다르게 관리하고 있다고 밝혔다. 회사가 핵심인재와 요주의 직원을 따로 관리하는 방법으로는 ‘금전적 보상’이 대표적이었다. 기업들은 ‘성과급 등 별도의 보상 지급(42.2%)’과 ‘다른 연봉 수준(38.4%)’을 각각 1, 2위로 꼽았다. 또 ‘직위/직급 이상(이하)로 권한을 부여하거나 제한(29.7%)’ ‘중간관리자를 통한 직접 체크, 관리(25.9%)’ ‘업무상 독립권, 자율권, 간섭 정도를 달리 한다(25.2%)’는 응답도 이어졌다.

이외 ‘목표 설정 및 목표 진행 과정 점검 등 성과관리(20.1%)’ ‘성과 그룹별 교육진행(20.1%)’ ‘이달의 우수사원 등 상벌제도 운영(16.5%)’ ‘직급 조정(16.1%)’ 등의 방식으로도 핵심인재와 요주의 직원을 관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