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공포가 전세계를 덮친 2020년 봄. 넷플릭스 오리지널 ‘킹덤’ 시즌2가 베일을 벗었다. 극중 생사초에서 비롯되는 감염증처럼 불특정 다수에게 무서운 속도로 퍼져나가고 있는 코로나19 사태와 맞물려 기시감이 든다는 의견도 존재했다. 그러나 김은희 작가는 “‘킹덤’은 2011년부터 기획된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코로나19는 안타까운 사태죠. 최대한 빨리 끝났으면 좋겠다고 생각하고 있어요. 봄이 오면 극중 서비(배두나)의 대사처럼 ‘모든 악몽이 끝나서 다 제자리로 돌아갔으면’ 좋겠다는 바람이에요. 기생충이나 전염병에 관심이 많아서 관련 서적을 많이 읽어봤는데 온도에 예민하더라고요. ’킹덤’ 속 역병의 특성도 그런 부분에서 착안했어요”

꼭 코로나19가 아니더라도 ‘킹덤’의 흥행은 이미 예견돼 있었다. 시즌1 공개 당시 해외 시청자들 사이에서 갓과 가채 등 다양한 장신구들이 인기를 끌었다. 넷플릭스라는 세계적인 콘텐츠 유통 채널을 통해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킹덤’이 뜨거운 반응을 얻은 것. 그렇다고 해외 시청자들의 편의를 위해 문화적인 디테일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한 부분도 없었다.

“좀비물을 가장 한국적으로 만들어보고 싶은게 기획 의도였어요. 이렇게 하면 외국 사람들이 재밌게 보겠지가 아니라 내가 어떤 이야기를 만들고 싶은지에 대한 게 중요한 거 같아요. 이 작품을 왜 쓰려고 했지 하는 생각이 한 번 흩어져버리면 이야기가 삼천포로 빠지는 부분이 있어서 기획의도에 대해서 고민을 하는 거 같아요. 그걸 잃지 않는게 저의 초심이에요. 쓰면서 놓치지 않으려고 했던 건 정치가 무엇인가였던 거 같아요. 배고픔도 잘못된 정치에서 파생되는 거잖아요”

지난 시즌이 넷플릭스에서 만들어지는 한국 콘텐츠라는 점에서 새로운 도전으로 비쳐졌다면, 시즌2에서는 김은희 작가가 처음 도전하는 시리즈물이라는 점이 주목을 받았다. 또 김성훈 감독과 박인제 감독이 한 시즌 안에서 에피소드를 나눠 연출을 했다는 것도 흔치 않은 제작 환경이었다.

“시즌제를 처음 해봤는데 저한테는 잘 맞았던 거 같아요. 한번 합을 맞춘 배우와 스태프들이기 때문에 척하면 척할 정도로 호흡이 점점 좋아진 거 같아요. 앞으로 할 수 있다면 시즌제에 더 많이 도전하고 싶어요. 김성훈, 박인제 감독님은 두분 다 글을 쓰시는 분들이라 회의나 대본 이야기할 때 훨씬 수월했던 거 같아요. 같은 작가로서 이야이가 잘 통하는 부분이 있었어요”

두 감독과 함께 작업을 한 데 대한 질문도 이어질 수 밖에 없었다. 작품을 집필하며 김은희 작가가 개인적으로 기대를 하며 영상화를 기다린 장면도 있었을 터. 김은희 작가는 시즌2에 강렬한 존재감을 뽐낸 중전(김혜준)의 마지막 퇴장을 꼽았다.

“김성훈 감독님하고는 2011년부터 친분이 있어서 이분의 성향을 잘 알고 있었어요. 그래서 일을 할 때 호흡이 굉장히 잘 맞았거든요. 박인제 감독님같은 경우에는 시즌2를 하면서 처음 알게 됐어요. 혼자 이어오던 텍스트에서 이런 새로운 해석도 가능하구나 깨닫는 재미가 있었어요. 중전에게 생사역들이 몰려들면서 무너져 내리는 중전이 정전에 있고 덤비면서 무너져 내리는 장면을 기대하고 있었어요. 정전은 왕만의 공간이잖아요. 그런 곳이 전복되는 거니까요. 그게 ‘킹덤’의 가장 상징적인 장면이 아닐까 싶었는데, 그게 잘 표현이 된 거 같아요”

 

②에 이어집니다.

사진=넷플릭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