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중견기업 직장인 10명 중 6명이 세대 차이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윗세대로 갈수록 세대 차이 체감도는 높아졌다.

대한상공회의소는 8일 30개 대·중견기업 직장인 약 1만3000명에 대한 실태조사를 기초로 세대별 심층면접을 거쳐 작성된 '한국기업의 세대갈등과 기업문화 종합진단 보고서'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직장인 63.9%는 세대 차이를 느끼고 있었고, 연령별로는 20대의 세대 차이 체감도가 52.9%로 가장 낮았다.

이 밖에 30대는 62.7%, 40대는 69.4%, 50대는 67.3%가 세대 차이를 느낀다고 답해 윗세대 체감이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대 차이가 업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는 20대의 41.3%, 30대의 52.3%가 '그렇다'고 답해 40·50대(38.3%·30.7%)보다 비중이 컸다. 세대갈등은 야근, 업무지시, 회식 등 업무 문화에서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었다. 40대와 50대는 각각 35.5%, 42.8%가 '성과를 위해 야근은 어쩔 수 없다'고 답했지만 20·30대는 26.9%, 27.2%만이 이에 동의했다.

대한상의는 "의무 중심으로 생각하는 윗세대는 맡겨진 일을 우선하는 반면 권리 중심으로 생각하는 아랫세대는 근로계약서상 근무시간을 중요시한다"고 분석했다.

대한상의는 윗세대를 두루뭉술하게 일을 배워온 '지도세대', 아랫세대를 명확한 지시를 바라는 '내비게이션 세대'로 구분했다. 다만 회식에 대한 만족도는 모든 세대에서 20%대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팀 빌딩 활동 자체에 대해서는 20·30대의 60%가량, 40·50대의 80%가량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대한상의는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진 20·30세대의 사회 진출과 낮은 조직 경쟁력을 세대갈등의 원인으로 꼽았다. 보고서에 따르면 50대 직장인 87.9%가 '조직이 성장해야 내가 있다'는 항목에 동의한 반면 20대는 57.6%만 이에 동의했다. 조직 경쟁력 평가에서는 세대를 불문하고 모두 낮은 점수를 줬다. 합리성에 44점(100점 만점), 개방성에 20점, 자율성에 39점 등이다.

대한상의는 "조직의 체질을 가족 같은 회사에서 프로팀 같은 회사로 개선해야 한다"며 "선수가 팀을 위해 뛸 때 팀은 선수가 원하는 것을 준다는 원칙을 도입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헌신(Re-establish), 상호존중(Respect), 성과와 결과(Result), 보상과 인정(Reward), 훈련과 성장(Reboot) 등 5R문화 도입을 제안했다.

사진=연합뉴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