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실질임금 증가율이 경제 성장 속도에 미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임금이 줄어들거나 열악한 환경에서 근무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

 

◆ 작년 근로자 월평균 실질임금 339만원

오늘(7일) 기획재정부와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의 월평균 실질임금은 339만2000원으로 1년 전보다 2.8% 늘었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2.8%로 간신히 동률을 이뤘다. 최근 5년간 실질임금이 떨어졌던 것과 비교하면 이례적인 경우로 평가된다.

실질임금은 실제 받는 임금에 물가 수준을 반영한 것이다. 손에 쥐는 임금은 그대로이더라도 물가 상승률이 확대되면 실질임금은 줄어든다. 물가 상승률이 유지되더라도 명목 임금 자체가 줄면 실질임금도 쪼그라드는 것이다.

 

◆ 2000년대 성장률보다 실질임금 높았던 때 고작 3번

최근 5년간 연도별 실질임금 상승률을 보면 2012년 3.1%, 2013년 2.5%, 2014년 1.2%, 2015년 2.7%였다. 같은 기간 경제 성장률은 2012년 2.3%, 2013년 2.9%, 2014년 3.3%, 2015년 2.8%이었다. 실질임금 상승률이 경제 성장률보다 높은 것은 2012년이 마지막이었다.

2013년에는 실질임금 상승률이 경제 성장률보다 0.4%포인트, 2014년에는 2.1%포인트, 2015년 0.1%포인트 낮았다. 5년 평균으로 보면 GDP가 2.82% 늘어날 때 실질임금은 2.46%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00년대로 확장하면 실질임금 증가율이 경제 성장률보다 높은 해는 2002년, 2003년, 2012년뿐이다. 2000∼2016년 연평균 GDP 성장률은 4.18%였지만 실질임금 증가율은 2.52%에 그쳤다.

 

◆ 임금인상 없는 성장 고착화

임금 인상 없는 성장은 1997년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거치며 강화됐다는 평가가 많다.

IMF 외환위기 탈출을 위해 고용 시장 유연화라는 명목으로 대량 실업 사태가 빚어졌고 이후 법인세 최고세율을 인하해주는 등 대기업 규제를 풀어 경제 살리기에 나섰지만 낙수효과(고소득층·대기업의 소득 증대가 저소득층·중소기업에도 이어져 전체 경제가 활성화하는 효과)가 제대로 작용하지 않은 셈이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