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여파로 상반기 취업 시장이 평년에 비해 위축된 모양새다. 이로 인해 구직자의 취업 공백기가 속수무책 길어지면서 혹시나 채용 평가에서 부정적인 평가를 받을까 걱정하는 구직자들이 많다. 하지만 실제 신입사원 채용에서는 ‘공백기간’ 자체보다 ‘공백 사유’가 당락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됐다.

사람인이 기업 283개사를 대상으로 ‘신입사원 채용 시 공백기간과 공백 사유 중 당락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대해 조사한 결과, 79.5%가 ‘공백 사유’를 꼽았다. 즉 기업들은 구직자의 취업 공백기에 대해 단순히 ‘기간’만으로 평가를 하는 것이 아니라 왜 공백기를 가졌는지를 보다 중요하게 보는 것.

실제 기업 66.8%는 지원자가 공백기를 가지더라도 부정적으로 평가하지 않는 공백사유가 ‘있다’고 답했다. 공백 사유가 참작돼 평가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는 ‘전공 등 관심 분야에 대한 공부’(54.5%, 복수응답)와 ‘가족 간병 등 불가피한 개인사정’(54.5%)이 공동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 ‘취업스펙 쌓기’(47.1%), ‘본인 건강 문제로 인한 치료’(29.6%), ‘아르바이트 등 경제활동’(29.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82.3%는 면접 시 지원자가 공백기가 있을 경우 그 사유를 질문하고 있었다. 이때 면접 시 채용에 불이익이 없는 경우는 ‘공백기에 대한 목표가 뚜렷했을 때’(60.5%, 복수응답)가 가장 많았고, ‘지원직무에 도움이 된 활동을 했을 때’(53.2%), ‘구체적으로 이룬 성과가 있을 때’(44.6%), ‘공백기에 대해 자신감 있게 얘기할 때’(41.2%), ‘성과는 없지만 계획한대로 행동했을 때’(22.3%) 등이 있었다.

반면 면접 시 공백사유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상황으로는 ‘특별한 이유 없이 공백기를 가졌을 때’(63.5%, 복수응답), ‘공백기, 공백 사유를 감추려 할 때’(52.8%), ‘공백기의 활동 내용을 부풀릴 때’(33%), ‘취업 목표를 자주 바꿨을 때’(27.9%), ‘지원직무와 관계없는 일을 했을 때’(23.6%) 등의 순이었다.

그렇다면, 공백을 가진 ‘기간’에 대한 평가는 어떨까. 전체 기업 중 52.3%는 공백기간이 얼마인지에 따라 다르다고 답했다. 기간에 상관없이 '영향을 미친다'는 답변은 34.3%,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답변은 13.4%였다. 특히 기간에 따라 평가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다고 응답한 기업들은 공백기간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기 위해서는 최대 9개월 미만이어야 한다고 답했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