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5명 중 3명이 코로나19에 대한 회사의 대처에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잡코리아 제공

잡코리아가 지난 9월 3일~9일 직장인 725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이후 회사 만족도 변화’를 주제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매우 적극적으로 잘 대처하고 있다’가 13.5%, ‘이만하면 잘 대처하고 있다’가 47.2%로 나타나는 등 60%에 이르는 직장인이 ‘잘 대처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었다. 반면 ‘그다지 잘 대처하지 못한다’는 28.1%, ‘전혀 대처랄 것이 없다’는 11.2%의 응답을 얻었다. 특히 중소기업 재직 직장인 중 ‘잘 대처하지 못한다’는 응답은 44.8%로 대기업 29.2%에 비해 15%P 가량 높았다.

코로나19에 대한 회사의 대처에 따른 만족도 변화도 재직 기업 유형에 따라 미세하게 갈렸다. 잡코리아에 따르면 67.7%에 이르는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회사의 코로나19 대처로 만족도가 달라지지는 않았다’고 밝힌 가운데, 만족 보다는 실망으로 변했다는 응답이 조금 더 많았다. 

중소기업 재직 직장인들의 경우 ‘회사에 실망하게 됐다’는 응답이 22.0%로 ‘만족하게 됐다(10.3%)’는 응답을 2배 앞섰다. 반면 대기업 재직 직장인들은 ‘만족하게 됐다’는 응답이 21.0%로 ‘실망하게 됐다(11.3%)’보다 높았다. 

특히 회사가 코로나19에 제대로 대처하고 있다고 느끼지 못할수록 회사에 실망했다는 응답도 높았다. 회사가 코로나19에 전혀 대처하지 못한다고 밝힌 직장인의 59.3%가 ‘회사에 실망하게 됐다’고 밝혔다. 반면 ‘매우 잘 대처하고 있다’고 평가한 직장인의 경우 53.1%가 ‘회사에 만족하게 됐다’고 밝혀 차이를 보였다.

사진=연합뉴스/본 기사와 무관

‘회사에 만족하게 됐다’고 답한 직장인들은 그 이유(복수응답, 이하 응답률)로 ‘재택근무제 시행 등 회사로서는 부담일 수 있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해줘서(47.1%)’를 1위에 꼽았다. 2위는 ‘마스크, 개인위생 용품 지급 등 섬세하게 직원을 챙겨줘서(45.1%)’가 차지했다. 

‘이 시국에 고용불안감 없이 다닐 수 있는 것만으로도 만족스러워서(44.1%)’가 3위, ‘이런 시국에도 흔들림 없는 건실한 회사라서(19.6%)’가 5위에 오르는 등 회사의 존재 자체로 만족스러워 하는 직장인들도 적지 않았다. 

이 외 ‘정부 방역정책에 준해 할 수 있는 조치를 성실하게 취해줘서(28.4%)’ ‘가족돌봄 휴가지원 등 일과 가정이 양립할 수 있도록 배려해줘서(16.7%)’ ‘가용할 수 있는 휴가제도가 다양하고 넉넉해서(12.7%)’ ‘진심으로 직원을 위하고 아끼는 회사라는 느낌이 들어서(11.8%)’ 등의 응답이 이어졌다.

반면 ‘회사에 실망하게 됐다’고 답한 직장인들은 그 이유로 ‘직원의 안전보다 회사의 이익을 우선으로 한다는 느낌이 들어서(54.5%)’를 꼽았다. 2위를 차지한 ‘재택근무 미시행 등 직원의 요구를 모른 척 해서(31.8%)’를 20%포인트 이상 크게 넘는 수치였다.

이어 ‘무급휴직, 급여삭감 등 고용불안을 느끼고 있어서’와 ‘회사의 지원 없이 직원 개인의 위생/보건만 강조해서’가 나란히 29.5%의 응답률을 얻어 3, 4위를 차지했다. 5위는 ‘경각심 없이 행동하는 상사, 동료에 질려서(24.2%)’가 차지했다. 

사진=연합뉴스/본 기사와 무관

기타 ‘매출하락 등 앞으로 비전, 전망이 어둡다는 생각이 들어서(16.7%)’ ‘이 시국에도 회의, 출장, 외근 등 경각심이 없는 업무 방식(12.9%)’ ‘당장 사용할 수 있는 휴가가 없어서(11.4%)’ ‘정부 방역정책에 반하거나 따라가지 못하는 소극적인 대처 때문에(8.3%)’ 회사에 실망했다는 응답도 있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회사에 크게 실망한 직장인들 사이에서 이직의사가 눈에 띄게 높아졌다. 코로나19 이후 회사의 대처로 만족도가 어떻게 달라졌는지에 따라 이직의사 변화를 분석한 결과 ‘실망하게 됐다’고 답한 직장인 그룹에서 ‘하루 빨리 이직을 시도해야겠다’는 응답이 63.6%로 크게 높았다. ‘만족하게 됐다’고 답한 직장인 그룹의 7.8%와 비교하면 8배 이상 높은 수치였다. 

반면 ‘만족하게 됐다’고 답한 직장인들에게서는 ‘이직의사가 사라졌다’는 응답이 36.3%로 다른 그룹에 비해 눈에 띄게 높았다. ‘실망하게 됐다’는 직장인 그룹에서 이직의사가 사라졌다는 응답은 4.5%를 얻는 데 그쳤으며, ‘변화없음’ 그룹에서도 8.4%에 불과했다. 

특히 전체 응답 직장인의 61.0%에 달하는 상당수의 직장인들이 ‘이직의사는 여전하지만 여러 여건상 지금은 이직을 하지 않기로 했다’고 답해 코로나19 이후 위축된 이직 심리를 반영했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