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행이 반년 이상 지속되며 정부가 코로나블루(우울)에 새로운 질병분류코드를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실제 우울감과 무기력함을 호소하는 이들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크루트와 알바콜이 지난 4월과 6월, 이달 3회에 걸쳐 성인남녀 5256명을 대상으로 ‘코로나우울 추이’에 대해 설문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먼저 ‘코로나우울 경험비율’의 경우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인 지난 4월 실시한 조사결과는 54.7%, △‘생활방역 전환 이후’인 지난 6월 실시한 조사결과는 69.2%, 그리고 이달 △‘수도권 2.5단계’ 중 실시한 조사결과는 71.6%로 각각 집계됐다.

이어서 거리두기 추이별 우울감 수치도 살펴봤다. 0점부터 100점까지 10점단위 척도로 ‘매우 그렇다’는 100점, ‘전혀 그렇지 않다’는 0점에 가깝게 선택하게 했다. 그 결과 사회적 거리두기 기간의 우울감 수치는 △49.1점, 생활방역 기간 이후에는 △53.3점, 그리고 이달 현재 우울감 수치는 △67.2점으로 집계됐다.

또한 ‘코로나19 장기화에 따라 코로나우울도 심해지는 느낌을 받으셨습니까?’라고 묻자 △’그렇다’고 답한 비율이 지난 6월에는 89.6%, 이달에는 90.4%에 달하기도 했다. 종합하면 코로나우울은 코로나19 확산세는 물론 장기화 추이 모두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달라지는 코로나우울 증상에도 주목했다. 지난 4월 조사결과 코로나우울 증상 1위에는 ‘외출자제로 인한 답답함 및 지루함’(22.9%)이 득표, 당시 고강도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피로감 누적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6월에는 ‘일자리 감소ㆍ채용 중단 등으로 인한 불안감’(16.5%) 및 ‘줄어드는 소득으로 인한 우울감’(13.9%)이 1, 2위에 꼽혔었다. 서서히 일자리가 줄어드는 것이 체감되고, 실제 소득 또한 줄어들어 불안하고 우울했다는 것.

그렇다면 수도권 2.5단계가 실시 중에는 어떤 우울증상을 호소하고 있었을까. ‘무기력함’(16.2%) 및 ‘사회적 관계결여에서 오는 우울함·고립감’(14.5%)이 각각 상위에 랭크됐다. 장기화에 따라 무기력함 및 우울증도 심해지고 있는 것으로, 전염 방지는 물론 국민 심리 방역에도 눈을 돌려야 하는 이유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