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무서운 건 해고예요. 해고되면 알바만 해야하니까.” 이보다 더 노동자들의 애환을 담은 대사가 있을까.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는 이 세상 모든 노동자 그리고 노동자가 아니어도 자신의 모습과 위치를 찾기 위해 노력하는 이들에게 공감을 선사한다.

지난해 전주국제영화제 배우상(오정세) 수상작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는 7년간 회사에 헌신했지만 파견 명령을 받아 지방 하청업체로 가게 된 정은(유다인)이 1년의 시간을 버텨내고 자신의 자리를 되찾기 위한 여정을 담은 영화다.

이 작품에서 정은이 권고사직을 거부하고 파견 명령을 받는 이유는 등장하지 않는다. 그가 어떤 부당한 명령을 받았는지는 영화를 통해 유추해볼 수 있다. 우수 사원이지만 여성이고 스펙도 좋지 않고 문제점들에 타협하지 않는 것. 알게 모르게 정은은 이 영화에서 수많은 차별과 맞서 싸운다.

정은이 본사에서 하청업체로 발령 받은 설정은 눈에 띈다. 대기업, 중소기업 너나 할 것 없이 이 영화는 노동계의 문제점을 꼬집는다. 특히 노사 관계가 아닌 노와 노의 관계에서 말이다. 같은 노동자지만 시기와 질투, 성공에 대한 집착, 선을 넘은 경쟁심 등 우리 사회에 만연한 일들이 ‘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에 고스란히 녹아있다.

하지만 그렇다고 정은에게 어두움만 있는 건 아니다. 그에겐 막내(오정세)라는 존재가 있다. 모두가 정은을 쳐다보지 않았을 때 막내는 손을 내민다. 그는 생존을 위해 일을 하지만 사람을 내 생존을 위한 도구로 바라보지 않는다. 함께 할 동료로 생각한다. 막내와 함께 정은은 낭떠러지에서 지푸라기를 잡게 된다.

직급상 정은이 막내보다 위에 있지만 송전탑 앞에서는 반대가 된다. 정은은 책상에 앉아서 하는 일만 했지 몸을 쓰는 건 해본 적이 없었다. 여기에 송전탑을 보고 자신이 고소공포증이 있다는 걸 알게 된다. 땅에서 송전탑 위에 있는 막내를 바라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막내의 도움으로 그와 높은 자리에서 수평의 위치에 서게 된다. 두 사람이 송전탑 줄에 매달리는 장면은 노동자 사이의 평등, 화합을 이야기하는 것처럼 보인다.

유다인은 정은 역을 맡아 외강내유의 모습을 보여준다. 시간이 지날수록 그는 외강내강이 되는 정은을 오롯이 표현하며 보는 이들이 감정이입할 수 있게 한다. 오정세 역시 존재감 폭발하는 연기를 펼친다. 짧은 대사가 임팩트있게 소화하고 유다인과 찰떡 호흡을 선보인다.

그럼에도 두 배우가 연기한 캐릭터에게서 밝은 모습을 찾을 수 없다. 현실이 그렇지 않나. 우리는 여전히 송전탑에서 수직하강하지 않으려고 죽을 힘을 다해 오르고 또 오르고 있다. 우리가 송전탑 맨꼭대기에서 바라본 세상은 눈부실까. 러닝타임 1시간 51분, 12세 관람가, 1월 28일 개봉.

사진=’나는 나를 해고하지 않는다’ 스틸컷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