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식품 물가 상승률이 올해 1~3분기 내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가운데 최상위권에 머물렀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연초부터 조류 인플루엔자(AI), 구제역이 잇따라 터졌고, 폭염과 폭우 등 기상 이변으로 농·축·수산물 물가가 고공행진을 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8일 OECD에 따르면 3분기 한국의 식품 물가는 전년 같은 분기보다 5.4% 올라 터키(11.5%), 멕시코(9.7%), 라트비아(6.3%), 에스토니아(5.8%), 체코(5.7%)에 이어 OECD 6위를 기록했다.

앞서 1분기 한국의 식품 물가 상승률은 3.9% 올라 터키(9.7%), 라트비아(5.9%), 체코(4.1%), 에스토니아(4.0%)에 이어 OECD 5위를 기록했다. 2분기에는 마찬가지다. 식품 물가 상승률은 3.6%를 기록했다. 터키(15.6%), 멕시코(7.0%), 에스토니아(5.8%), 라트비아(5.6%), 체코(4.5%)에 이어 6위를 기록했다.

농·축·수산물과 공장에서 제조하는 가공식품 두 가지로 분류되는 식품 물가 고공행진은 농·축·수산물 가격 폭등이 주도했다. 올해 초에는 AI와 구제역 창궐의 영향으로 달걀 가격이 크게 올랐다. 1월 달걀 가격은 1년 전보다 61.9% 올랐고 전체 농·축·수산물 가격은 1년 전보다 8.5% 올라 1월 전체 물가를 0.67%포인트(p) 끌어올리는 효과를 냈다.

2분기 들어서는 AI와 구제역의 진정세로 다소 안정될 것으로 보였으나 AI가 다시 창궐해 상황이 악화했다. 올해 6월 농·축·수산물은 7.6% 올라 전체 물가를 0.59%p 올렸다. 1월 이후 최대 상승 폭이었다. 3분기가 되자 AI로 치솟던 계란값이 살충제 파문으로 잠잠해졌다.

하지만 무더위와 집중호우로 채소값이 크게 뛰면서 밥상물가는 요동쳤다. 8월 채소 가격은 22.5% 상승해 전체 물가를 0.37%p 끌어올렸다.

이 결과 전체 물가는 5년4개월 만에 최대 폭인 2.6%로 상승했다. 채소 가격 상승 영향으로 전체 농·축·수산물 가격은 12.2% 상승해 전체 물가를 0.96%p 견인했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4분기 들어 1~3분기에 적용됐던 기저효과 해소와 농·축·수산물 물가 안정세로 높은 상승률은 다소 꺾일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10월 물가를 보면 재배면적 증가로 무·배추가격이 하락하면서 채소류는 9.7% 하락해 전체 물가를 0.18%p 끌어내렸다. 이러한 하락 폭은 2014년 10월 12.1% 하락 후 3년 만에 가장 컸다. 축산물은 1.9% 상승, 2015년 7월 1.4% 오른 이래 상승 폭이 가장 적었다. 이런 영향으로 농·축·수산물은 3.0% 상승, 전달(4.8%)보다 상승 폭이 축소됐다.

사진= KBS뉴스 영상캡처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