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성심병원의 강제적인 장기자랑 참여 요구가 사회적인 이슈로 부상된 가운데, 직장인들의 공감 섞인 목소리도 이어지고 있다. 특히 직장인 62.2%는 성심병원의 사례처럼 사내 장기자랑에 반강제적으로 참여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포털 인크루트는 최근 ‘사내 장기자랑에 관한 설문’을 진행하고 재직자의 62.2%가 사내 장기자랑에 참여한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과반수가 넘는 61.7%의 응답자는 사내 장기자랑에 대해 부정적 입장을 내비치며, 급격히 부상한 사회적인 이슈에 민감히 반응했다.

사내 장기자랑 경험이 있는 62.2%의 직장인들 가운데 신입사원은 25.1%, 신입사원이 아닌 기존 재직자가 37.2%였다. 이는 직급과 무관하게 장기자랑을 준비해야하는 직장인들의 고충을 여실히 드러낸다.

직장인들이 주로 장기자랑을 선보여야 했던 행사는 송년회(29.5%) 1위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어 크고 작은 회식(25.1%), 워크샵(24.9%)이 뒤를 이었으며, 이들 3개 행사가 전체 장기자랑 비중의 약 80%를 차지했다. 이외에는 신년회(6.5%), 창립기념일(5.7%), 연수 중(4.9%), 기타 ‘체육대회’, ‘진급행사’ 등 다양한 행사를 통해 장기자랑이 진행된 것으로 드러났다.

직장인들이 무대에서 선보인 것은 노래(42.8%)와 춤(33.0%)이 총 75.8%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어 남성 직장인들의 여장, 여성 직장인들의 남장·악기 연주(각 4.1%), 치어리딩(3.2%), 연극·개그공연(각 2.7%), 난타 등 퍼포먼스(2.1%), 마술·성대모사(각 1.8%) 등 그 종류도 다양했다.

 

장기자랑 참가여부는 74.5%가 반강제적으로 결정됐다고 답해 충격을 안긴다. 전혀 할 의향이 없었으나 강압적인 방식으로 참여를 결정했다는 답변이 43.1%로 1위에 올랐고, 이어서 ‘해야 하면 어쩔 수 없다고 생각하던 중 (타인에 의해) 참여 결정’이 31.4%로 뒤를 이었다. ‘자발적으로 참여를 결정’한 경우는 11.8%에 불과했다.

하지만 장기자랑에 대한 직장인들의 기억은 ‘긍정적인 이미지로 남아있다’가 50.5%, ‘부정적인 이미지로 남아있다’가 49.5%로 거의 50대 50에 육박하는 양상을 띄었다. 장기자랑이 긍정적인 이미지로 남은 이유에는 ‘회사 사람들에게 많은 웃음을 줄 수 있었다는 데에 만족했기 때문’(29.4%) ‘동료들과의 유대감 형성’과 ‘동료들과 함께 한다는 점에서 덜 민망하게 회사 사람들에게 나를 어필할 수 있었기 때문’(27.2%) 등이 있었다.

하지만 부정적인 인식을 삼은 직장인들의 이유는 더욱 다양했다. 이들은 ‘무대에 올라가는 것 자체가 너무 싫었기 때문’(42.2%)이라고 가장 많은 답변을 내놓았으며, 이어 ‘나의 장기가 아닌 별도의 장기를 준비한다는 것에 스트레스를 받았기 때문’(26.5%) ‘선정적이거나 가학적인 무대 등 준비하기 난처한 주문을 강요했기 때문’(10.8) 등의 답변도 이어졌다. 또한 ‘일할 시간도 부족한데 따로 시간을 내어 준비했다’, ‘1달간 점심시간 포기’, ‘남들 앞에서 웃음거리, 구경거리가 된 기분’등 스트레스가 과했음을 전했다.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시 상황에 대해 문제제기를 한 경우는 12.1%에 불과했다. 최근 이슈들을 계기로, 사내 장기자랑에 기업차원에서의 문화 개선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사진 = MBN 방송화면 캡쳐, 인크루트 제공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