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세권 2030 청년주택’ 사업은 주거난을 겪고 있는 대학생, 사회초년생, 신혼부부 등 20~30대 청년층을 위해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도시철도와 경전철 등이 2개 이상 교차하는 지하철역 등 역세권에 준공공임대주택과 소형공공임대주택을 짓는 사업이다. 서울시가 역세권 민간 토지에 대해 건물 용적률 완화나 세제 혜택 등을 지원하고 민간 사업자는 공공 및 민간임대주택을 지어 청년층에 우선 공급하는 방식이다.

은행들은 올해 서울시와 업무협약을 통해 시행사와 입주자들을 위한 금융지원을 하고, 청년주택을 짓는 사업시행자들에게 건설자금 대출의 한도와 금리를 우대하기로 했다. 아울러 청년주택 입주자들을 대상으로 보증금 대출 전용 상품을 출시하기로 했다.

하지만 서울시와 ‘역세권 2030 청년주택’ MOU를 맺은 KB국민·신한·KEB하나·우리은행 등 4개 은행의 대출실적은 올해 단 두건, 670억원에 불과했다.

지난 2월 시중은행 중 가장 먼저 서울시와 협약을 맺은 KEB하나은행만 올해 서울 서대문 충정로역과 서울 마포구 합정역 근처에 청년주택을 짓는 시행사에 각각 450억원, 240억원을 대출했다.

우리은행은 올해 2월부터 서울시와 역세권 청년주택 사업에 참여했으나 현재까지 시행사 건설자금 대출 실적이 0건이다. 지난 10월 서울시와 청년주택 금융지원 업무협약을 맺은 KB국민은행과 신한은행도 없다.

은행들은 기존의 월세 보증금 대출 등 상품이 있어 청년임대주택 사업 전용 상품 개발에 적극적이지 않다. 사업성이 높지 않은데다 장기 대출을 해야 하다 보니 부담스럽기 때문이다. 또 임대주택 건립을 반대하는 지역 주민의 반발과 대출 관련 요건이 까다로워 이를 맞추는 시행사가 많지 않아 대출 신청 자체도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