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대 분배지표 모두 악화하며 빈부격차가 더욱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공동 발표한 '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에 따르면 2016년 가처분소득 기준으로 지니계수, 소득 5분위 배율, 상대적 빈곤율이 모두 전년 대비 악화했다.

지난해 한국의 지니계수는 0.357로 2015년과 비교해 0.003 증가했다. 지니계수는 대표적인 불평등 측정 방법이다. 0과 1 사이의 수치를 보이며, 1에 가까울수록 불평등하다는 의미다. 지니계수가 높아졌다는 것은 사업소득, 근로소득, 재산소득 등 경제활동을 통해 발생하는 소득의 불평등 정도가 커졌다는 것을 말한다.

만 18~65세 근로연령층의 지니계수는 시장소득 기준으로는 0.371로 전년 동기 대비 0.004 증가했다. 처분가능소득 기준(0.340)으로는 0.002 증가했다. 한편, 만 66세 이상 은퇴연령층의 경우 시장소득(0.570)은 0.005 늘었지만, 처분가능소득은 0.00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5분위 분배율은 균등화 처분소득 기준 7.01에서 7.06로 전년보다 0.05 높아졌다. 시장소득 기준으로는 10.44에서 10.92로 0.48 상승했다. 은퇴연령층의 시장소득 5분위 분배율은 47.20에서 51.22로 4.02나 높아졌다. 고령층의 은퇴 후 소득 격차가 더욱 벌어진 것이다.

소득 5분위 배율은 가구소득 상위 20%(5분위)의 평균소득을 하위 20%(1분위)의 평균소득으로 나눈 값이다. 명목소득에서 세금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가처분소득을 주로 사용해 값을 낸다. 수치가 클수록 소득분배가 불균등함을 가리킨다.

 

 

상대적 빈곤율 역시 17.9%로 전년보다 0.1%포인트 상승했다. 상대적 빈곤율은 전체인구에서 중위소득 50% 미만인 계층이 차지하는 비율이다. 근로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13.1%)은 0.1%포인트 감소했지만, 은퇴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45.1%)은 0.6%포인트 뛰었다.

 

사진 출처=2017년 가계금융·복지조사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