늘어난 가계대출이 집값 전·월세를 올리고, 오른 집값 전월세가 다시 대출 규모를 키우는 악순환의 고리가 계속 반복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애초 정부가 목표로 내건 연간 증가율 5%∼6% 내 관리는 물거품이 됐다. 

10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제2금융권을 포함한 전체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올해 들어 8월까지 87조 4,000억원 증가해 전년 동기 대비 기간 증가폭(60조 2,000억원)을 넘어섰다고 금융위원회는 밝혔다. 

지난해 말 전체 금융권 가계대출 잔액이 1,630조 2,000억원이었음을 감안하면 5.3% 증가했다. 이는 금융위가 목표로 하는 가계대출 연간 관리선인 증가율 5∼6%를 이미 웃돌았다. 

8월 한 달만 놓고 보면 증가액이 8조 5,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15조 3,000억원 이나 전년 동기 14조 3,000억원보다는 둔화했고, 올해 들어 월평균 증가액 10조 9,000억원과 비교해도 낮은 수치다. 

은행권 가계대출 사정도 매한가지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8월 말 현재 은행 가계대출 잔액은 1,46조 3,000억원으로 지난해 말 988조 8,000억원보다 5.8% 증가했다.

같은 기간과 비교해 가계대출 증가율6.7%)은 둔화했으나 증가폭(59조 9,000억원)은 비슷하며, 2019년의 연간 증가액(60조 7,000억원)에 육박한다.

금융권 관계자는 “한국은행의 지난달 26일 기준금리 인상과 금융권의 강력한 대출 억제로 증가율이 10%에 육박했던 지난해처럼 폭증하지는 않는다”라며 “하지만 금융당국의 대출 증가 마지노선은 사실상 뚫렸다”고 말했다. 

올해 은행 가계대출 가운데 주택담보대출은 5.9%(42조3천억원),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5.7%(15조 2,000억원) 각각 늘었다.

주택담보대출 증가 폭은 전년 동기와 같고 2019년 같은 기간(26조 7,000억원)보다는 62%(15조 6,000억원)나 많다. 신용대출이 15조 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4.1%(2조 5,000억원)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한편 월간 KB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8월 기준 전국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1년 새 4억 1,930만원에서 5억 2,322만원으로 약 1억원, 수도권은 5억 8,943만원에서 7억 4,63만원으로약 1억 5,000만원이 올랐다.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평균 전셋값은 2억 5,939만원에서 3억 2,355만원으로 약 6,400만원, 수도권은 3억 4,502만원에서 4억 4,156만원으로 약 9,600만원 늘었다. 

한은은 지난 9일 국회에 제출한 ‘통화신용정책 보고서’에서 최근 주택시장 상황과 높아진 가계 수익 추구 성향 등을 감안할 때 당분간 대출 수요가 크게 둔화하기 어려울 것으로 내다봤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