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인 시기의 주거 안정성이 높은 부부가 자녀를 더 많이 낳는 것으로 드러났다.

 

 

28일 보건사회연구원의 '신혼부부 주거생활주기와 출산 간의 연관성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이같이 밝혀졌다. 혼인한 지 5년 이하 초혼 신혼부부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주거실태 패널조사(2014∼2016년)를 분석한 결과, 혼인 당시의 주택 점유형태는 전세가 54.7%로 가장 많았고, 자가가 26.3%, 월세가 10.7%, 무상이 8.4% 순이었다.

'현재 자녀 수'와 '계획 자녀 수'가 가장 높은 그룹은 '무상'으로 집을 받은 그룹이었다. 이들의 현재 자녀 수는 0.94명이었고, 계획 자녀 수는 1.78명이었다.

'자가'로 집을 소유하고 있는 신혼부부의 현재 자녀 수는 0.86명이었고, 계획 자녀 수는 1.66명이었다.

반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전세의 경우 현재 자녀 수 0.78명, 계획 자녀 수 1.56명으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했다.

결혼 당시 집 장만 여부가 자녀 수와 긴밀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이다.

 

 

혼인 당시 전세나 월세였던 그룹 가운데 조사 시점에도 전세나 월세 상태를 유지한 경우는 전체의 93.1%에 달했다. 이들의 현재 자녀 수는 0.77명, 계획 자녀 수는 1.55명이었다.

반면, 혼인 당시 월세에서 조사 시점에 자가 주택을 소유하게 된 나머지 6.9%의 현재 자녀 수는 1.13명이었고 계획 자녀 수는 1.75명이었다.

보고서는 "이 분석결과는 높은 주거비 부담으로 인해 신혼부부들이 출산과 양육에 필요한 안정성을 가지고 혼인생활을 시작하지 못하는 현실을 보여준다"고 분석했다.

이어 "신혼부부의 주거 문제는 혼인 단계에서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출산 등 혼인생활의 진전에 따라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이라며 "혼인 초기의 부부로 지원 대상을 제한하면 출산을 적극 지원할 수 없게 되므로 지원 기간을 확대하고 생애과정에 따른 주거 확장 등의 수요를 고려해야 한다"고 전했다.

 

사진=픽사베이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