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해진 목표를 향해 일직선으로 우직하게 걸어가는 건, 우리네 인생에서 미덕으로 여겨지곤 한다. 하지만 때로는 빙글빙글 돌고 돌아서 우여곡절 끝에 목표에 도달하는 것도 나름 재미가 있다. 영화 ‘머니백’(감독 허준형)이 바로 그런 영화다. 빙빙 돌아가는 모습이 일면 답답하지만, 계속해서 웃음이 새어나온다.

  

‘머니백’은 사채빚을 진 백수 민재(김무열)가 어머니의 수술비를 마련하려 고군분투하다가 사채업자 백사장(임원희)과 국회의원 문의원(전광렬)의 검은돈을 손에 넣으면서 벌어지는 사건을 담는다. 여기에 도박하다가 총을 저당 잡힌 최형사(박희순), 총을 잘못 배달한 택배기사(오정세), 백사장의 사주로 문의원을 죽이려는 킬러박(이경영), 그리고 양아치 사채업자(김민교)까지. 일곱 캐릭터의 얽히고설킨 돈가방 소동을 그린다.

사실 이 영화의 플롯 자체는 따로따로 보면 그리 특별하진 않다. 돈 없는 청년이 어머니 수술비를 마련하겠다는 건 다소 신파적이고, 국회의원의 검은돈을 둘러싼 검은 세력의 이야기는 뻔한 범죄물의 소재였고, 부패한 형사가 위기를 맞는다는 설정도 다들 어디서 한 번쯤 봤음직하다.

하지만 이 익숙한 플롯들은 '영화'라는 틀에서 하나로 합쳐지면서 매력이 분출된다. 어머니의 수술비를 마련하려는 백수 청년의 일상에 불쑥 권총이 잘못 배달되고, 국회의원의 검은 돈은 사채업자에게서 뜬금없이 청년에게로, 또 더 뜬금없이 택배기사에게로, 또 형사에게로, 그리고 다시 사채업자에게까지 돌고 돈다. 물론 그 과정은 어쩔 수 없이 인위적이다. 그러나 영화가 두르고 있는 코미디의 외피가 그 허술함을 도리어 발랄함으로 바꾼다.

 

대표적으로 청년에게 총이 배달되는 과정이 그렇다. 사채업자의 부하인 양아치가 “물건 좀 배달하라”는 명령을 받지만 귀차니즘에 빠져 길 가던 택배기사를 불러 세우고, 하필 킬러가 집을 비운 사이 택배가 도착하면서 옆집에 사는 민재(자살을 시도하려다 택배기사의 꾸준한 벨소리에 포기하고 만다)에게 총이 맡겨진다. 그는 또 자연히 그 총을 들고 사채업자에게 복수를 하러 간다.

이 지점은 다분히 ‘우연’으로 똘똘 뭉쳐있다. 엄밀히 말하자면 영화에서 우연이란 그다지 좋은 스토리텔링이 아니다. 하지만 ‘머니백’ 속에서 이 우연은 이질감으로 다가오지 않는다. 오히려 덧씌워지는 유머코드에 “웃기려 했다”는 당위성을 얻는다. 심지어 이 유머가 타율도 꽤 높다. 아주 촘촘히 당위를 쌓으려 노력하는 여타 영화스토리보다는 쉽다고 여겨지는 방법이지만, 어쨌든 서사를 진행해가면서 웃음을 주고, 동시에 관객까지 납득시키는 영리함이 러닝타임 내내 이어진다.

 

결국 ‘머니백’은 아주 쫀쫀한 범죄영화라기보단, 관객들의 박장대소에 목적을 두고 있는 코미디영화라고 보는 게 더 맞을 듯하다. 영화를 구성하는 7인의 캐릭터를 살펴보면 어느 정도 사회풍자적 목적도 보인다. 우선 중심소재가 ‘국회의원의 검은 돈’이다. 또 청년 민재는 청년실업문제를 체감하고, 택배기사는 매일 갑질에 시달린다. 사건의 시발점이 되는 총도 부패경찰이 저당 잡힌 물건이다. 어쩌면 그들 사이를 계속 돌고 도는 돈가방이란 것도 ‘돈’의 부정성을 상징하는 장치로 읽을 수 있다.

특이한 점은 영화 속 시퀀스들은 대개 일곱 캐릭터 중 두 명의 인물들이 만나서 벌이는 사연으로 구성된다는 점이다. 두 인물들은 언제나 갑-을이 나뉘어 있다. 하지만 총이라는 변수가 끼어들면서 돈보다도 무시무시한 폭력 앞에 갑-을 관계가 계속 전도돼 아이러니한 웃음을 유발한다. 이 대목에서 폭력이 희화화 됐다는 비판도 받을 수 있지만, 개인적으론 폭력을 희화화했다거나, 정당화했다는 느낌보다는 과거 ‘나홀로 집에’ 등 영화에서 볼 수 있었던 ‘관계의 반전’이라는 유머코드로 받아들여진다.

물론 최근 폭력을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풍토로 봤을 때 '머니백'에 다소 호불호가 갈릴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복잡한 의견들은 차치하고 본 ‘머니백’은 웃음이라는 코미디 장르의 근원적인 목적만큼은 성취, 최근 그 어떤 작품보다도 유쾌하게 볼 수있는 영화다. 러닝타임 1시간41분. 15세 관람가. 12일 개봉.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