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인 가구가 확산하며 1~4인 가구 중 가장 많은 가구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1인 가구는 거둬들이는 수입에 비해 비좁거나 비싼 집에 더 많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눈길을 모은다.

 

pixabay

15일 주택금융공사(HF) 주택금융연구원은 '임차 가능지수 및 분포도를 활용한 가구 규모별 부담의 측정' 보고서를 발표하며 이같은 사실을 알렸다. 연구원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전국 1인 가구의 임차 가능지수는 평균 53으로 집계됐다. 특히 수도권의 경우 40, 비수도권에서는 74로 나타났다.

*주택임차 가능지수는 0∼200의 범위에서 기준점 100 이상인 경우, 소득 수준에 적정한 집을 빌릴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100보다 낮으면 과도한 주거비를 지출하고 있거나 적정한 면적보다 좁은 집에 살고 있는 것을 뜻한다.

2인 가구의 경우 전국 평균은 101, 수도권은 83이었으며, 3인 가구는 전국 평균이 133으로 1∼4인 가구 가운데 가장 높았다. 수도권 거주 3인 가구는 115, 비수도권 거주 3인 가구는 160으로 모두 소득보다 넓은 집에서 사는 것으로 조사됐다. 4인 가구는 전국 평균이 121, 수도권 103, 비수도권은 151이었다.

저금리와 전월셋값 안정세의 영향으로 임차 가능지수는 2∼4인 가구의 경우 2012년부터 상승세를 보였다. 반면 임대주택 수요는 많은 상황에도 소득은 부족한 1인 가구는 2013년 이후 꾸준히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016년 기준 1인 가구 비중은 전체 가구에서 27.87%를 차지해 1~4인 가운데 가장 컸던 반면. 1인 가구 자가 비율은 32.5%로, 60%를 넘는 2∼4인 가구보다 낮았다.

민병철 주택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1인 가구는 다른 가구에 비해 상당한 임차부담을 느끼고 있다"며 "1인 가구의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사회·구조적 변화를 고려해 정책적 관심의 대상도 변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