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의 취업난 시름은 갈수록 큰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어렵게 취업문턱을 넘어서도 비정규직과 정규직의 갈림길에서 다시 한번 좌절을 맛 보는 경우가 많다. 비정규직의 처우가 해가 갈수록 개선되고 있다고는 하나, 근로자가 체험하는 비정규직과 정규직 사이의 체감이 크게 다르기 때문.
 

(사진=픽사베이)

구인구직 매칭플랫폼 사람인이 기업 368개사를 대상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 전환 계획’에 대해 조사한 결과, 현재 비정규직을 고용하고 있는 기업 158개사 중 69.6%가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정규직 전환 비율은 전체 비정규직 직원 대비 51% 수준으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50%’(24.5%), ‘10% 미만’(17.3%), ‘90%’(14.5%), ‘100%’(10%), ‘70%’(6.4%), ‘20%’(6.4%) 등의 순이었다. 전환 시에는 기존 정규직과 동일한 처우를 제공한다는 응답이 85.5%로 별도 처우 규정을 마련한다는 응답(14.5%)보다 월등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전환 계획이 없다고 밝힌 기업 48개사는 ‘인건비 상승 부담 때문에’(41.7%, 복수응답)를 이유로 꼽았다. 다음으로 ‘업무량이 유동적이라서’(37.5%) 고정적인 인력을 갖출 수 없다고 답했다. 이어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위해’(16.7%), ‘최근 경영성과가 좋지 않아서’(12.5%), ‘신규채용에 지장을 받아서’(8.3%) 등의 이유가 있었다.

비정규직을 고용하던 업무에 신규로 정규직을 채용할 계획은 얼마나 될까. 기업의 절반 이상(55.7%)은 정규직으로 채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대표적으로 ‘업무 지속성 향상을 위해서’(58%, 복수응답), ‘숙련된 인력 확보를 위해서’(50%), ‘업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39.8%), ‘기업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22.7%) 등 업무와 직접 연결되는 이유였다.

비정규직 직무를 정규직으로 채용하는 분야는 ‘제조/생산’(19.3%, 복수응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서비스’(18.2%), ‘재무/회계’(17%), ‘인사/총무’(17%), ‘영업/영업관리’(15.9%), ‘연구개발’(10.2%) 역시 분야에 큰 제한없이 비정규직이 고용되고 있었다.

기업들은 정규직 전환을 위해 ‘정부차원에서의 비용 지원’(38.6%, 복수응답)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냈다. 아울러 ‘정규직에 대한 유연한 기준 확립’(38.3%), ‘산업특성 반영한 관련 제도 확립’(23.9%), ‘성과 중심의 임금 차등화 제도 마련’(18.8%), ‘처우에 대한 노조와의 원활한 협의’(17.7%) 등 제도적인 차원의 개선에 힘을 실었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