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이 점점 취업과 멀어지고 있다.

 

사진=pixabay.com

통계청이 발표한 8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비경제활동인구 중 ‘그냥 쉬었음’은 총 182만4000명으로 이 중에 20대(20~29세)가 15.7%였다. 이는 전년 동월 대비 7.8%p 늘어난 수치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다’는 25~29세의 경우 지난 4월(12만명)부터 전월(11만3000명)대비 6.2%p 늘었다가, 5월에 감소(10만8000명)한 것을 제외하고는 6월(11만2000명), 7월(13만3000명)까지 계속해서 늘어났다. 8월 들어서는 7월과 동일한 13만3000명이었다.

25~29세 연령층이 사회 진출 나이임을 감안할 때 증감의 차이는 있으나, ‘구직을 하지 않고 그냥 쉬고 있는 20대’가 많은 것이다. 졸업이 늦어질 뿐 아니라 청년층의 구직활동이 용이하지 않아 잠정적으로 구직을 단념한 이들이 많은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로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에서 지난 상반기 구직자 45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구직을 중단한 경험이 있거나, 지금 아예 포기 상태’라고 답한 응답자가 50.7%였다. ‘취업이 어차피 안될 것이라는 불안감’(35.1%)이 가장 큰 원인이었다. 어떤 시도를 해도 안 될 것 같은 무기력증으로 구직단념을 한 청년층이 늘어나고 있다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렇듯 구직 단념 경험이 많아지고, 취업난이 심각해지면서 청년층의 사회진출도 점점 늦어지고 있다. 취업 준비기간도 길어지고, 생각처럼 구직이 쉽게 되지 않기 때문이다. 지난 5월 통계청 청년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첫 취업까지 소요기간은 평균 11개월로 ‘6개월~1년 미만’(49.6%), ‘1~2년 미만’(12%)이 많았다. 장기간 취업준비를 하는 이들의 비중도 조금씩 늘었는데, ‘2~3년 미만’은 전년 동월 대비 2%p(8.8%→10.8%) 증가했다.

기업들도 신입지원자들의 연령대가 높아지고 있음을 체감하고 있었다. 사람인이 기업 499개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4년제 대졸 기준 ‘신입사원 나이가 높아지는 추세’(68.1%)라는 기업이 많았으며, 30대 이상 신입사원을 채용한 경험도 69.5%였다. 2018년 상반기 30대 이상 신입 지원자의 비율도 지난해 채용 대비 증가했다(48.1%)는 기업이 다수였다.

사람인 임민욱 팀장은 “취업을 포기하는 청년들이 증가하는 데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겠지만 근로환경의 격차 역시 큰 비중을 차지한다. 중소기업 근로자 및 비정규직에 대한 사회 안전망과 혜택을 강화하는 정책을 통해 기업이 아닌 직무 중심으로 일을 선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