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우식과 봉준호 감독의 인연은 ‘옥자’로부터 시작됐다. 최우식은 김군이라는 작은 역할을 맡았지만 봉준호 감독의 뇌리에 깊이 박힌 배우가 됐다. ‘부산행’에 이어 ‘기생충’까지, 30세에 자신의 영화 2편이 칸국제영화제에 초청된 영광을 안은 최우식은 ‘기생충’에서 이야기의 중심이 되는 기우 역을 맡아 이 시대의 아들, 청년의 이미지를 가장 자연스러운 연기로 보여줬다.

‘거인’으로 청룡영화상 신인남우상을 받으며 충무로 라이징 스타로 떠오른 최우식은 ‘부산행’ ‘옥자’ ‘궁합’ ‘마녀’ ‘물괴’ ‘그대 이름은 장미’ 등 장르를 가리지 않고 자신의 역량을 마음껏 펼쳤다. 그가 봉준호 감독과 두 번째 만난 ‘기생충’에서 자신의 평소 엉뚱하고 순수한 매력을 고스란히 기우라는 캐릭터에 담아냈다.

“봉준호 감독님으로부터 시나리오를 받기 전에 캐스팅됐어요. 그때는 제가 어떤 장르, 어떤 인물로 나오는지 몰라서 기대되기도 했고 부담도 됐죠. 감독님이 ‘옥자’를 촬영하면서 제가 맡은 김군 연기를 마음에 들어하신 것 같아요. 당시에 제가 ‘옥자’를 찍고 나서 왜소한 몸을 좀 키우려고 운동을 시작했거든요. 그런데 감독님이 연락오셔서 운동은 나중에 하라고 하시더라고요. ‘기생충’ 이야기는 전혀 안 하셨어요. 나중에야 감독님의 의중을 알게 됐죠.”

“저희 영화에서 상징하는 것들이 참 많아요. 관객분들이 해석할 거리가 많죠.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듯이. 산수경석이 특히 기우의 감정과 많이 연관돼 있죠. 제가 생각했던 산수경석의 의미와 선배님들이 생각하신 의미가 다르더라고요. 서로 하나의 상징물을 가지고 이야기하다보니 영화가 다채로운 매력으로 다가왔어요. 감독님도 저희에게 그에 대한 답을 주지 않으셨어요. 상징물을 가지고 배우가 연기할 때는 해석의 몫을 배우에게 돌리시는 것 같았죠.”

최우식에게 ‘기생충’이란 작품은 부담이 됐을지 모른다. 그가 맡은 기우라는 캐릭터가 극을 온전히 이끌어가기 때문이다. 또한 송강호 등 대선배들과 함께 한다는 것 자체가 부담이 됐을지 모른다. 하지만 이를 극복한 건 작품에 대한 열정과 신뢰였다. 그는 그 누구보다 기우 역을 잘 해내고 싶었고 관객들에게 영화에 대한 메시지를 제대로 전달하길 바랐다.

“‘기생충’이 기우 중심으로 이야기가 흘러가잖아요. 엄청난 부담으로 다가왔죠. 거기다가 송강호 선배님이 제 아버지로 출연하시고 봉준호 감독님이 연출하시니 긴장하지 않을 수 없었죠. 그런 긴장은 잠시 뿐이었어요. 시나리오를 읽다보니 이야기 속에 빨려들어 정신을 차릴 수가 없었거든요. 좋았던 건 기우를 연기하면서 제 얼굴을 다양하게 표현할 수 있었던 것이었어요. 기우가 여러 사건을 겪으면서 변화하는 감정을 제 표정으로 드러내고 싶었죠.”

“감독님과 처음에 이야기했던 건 ‘기우의 가난함이 어느 정도인지’ 였어요. 관객분들이 ‘전원백수’ 타이틀을 보시고 오해하실 수 있는데 기우는 물론 기택(송강호)네 가족은 게으르거나 능력이 부족해서 전원백수가 된 게 아니에요. 가족 구성원 모두 저마다의 능력이 있죠. 하지만 그걸 사용할 기회가 없거나 한번 실패를 맛봤기 때문에 어렵게 사는 거예요. 기우는 똑똑하지만 실전에 약하죠. 그래서 ‘실전은 기세야!’라는 대사가 나와요.”

최우식은 기우를 보며 많은 걸 공감했다. 최우식 역시 기우의 나잇대를 거친 청년이었고 기우처럼 실패와 좌절을 맛본 경험이 있었다. 그런 점이 역할에 잘 흡수되고 대사 하나하나 놓치지 않을만큼 자신의 것으로 만든 힘이 됐다. 어떻게 보면 ‘기생충’은 배우 최우식의 능력을 한 단계 성장시킨 작품이었다.

“평소 맡은 역할을 준비할 때 조사도 많이 하고 공부도 하는데 기우는 그렇게 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았어요. 저도 기우가 느낀 감정을 과거와 현재 느끼고 있고 모든 청년, 20대가 공감하는 걸 저도 공감하니까요. 저 역시 계획대로 안 되는 인생을 살고 있고 그만큼 노력도 많이 했지만 실패도 겪었죠. 그래서 제가 기우를 보며 느끼는 감정을 그대로 연기에 담고 싶었어요. 기우는 물론 ‘기생충’은 20대뿐만 아니라 전세대가 공감할 수 있는 요소가 담겼거든요. 그래서 관객분들이 모든 캐릭터에 감정이입하고 밉게 보이지 않을 것 같아요.”

“제 대사가 정말 많죠? (박)소담이도 얼마 전에 그런 이야기를 하더라고요. 대사가 많지만 자기도 모르게 잘 외워지고 연기하면 술술 나온다고. 대사 하나하나 모두 문어체로 돼 있어서 이상할 정도로 입에 착 달라붙었어요. 제가 사실 대사 한번 보고 잘 외우는 스타일이 아니에요.(웃음) 다혜(정지소)와 과외하는 장면에서는 대사량이 어마어마하게 많았는데 한번에 쓱 외워지더라고요. ‘마녀’를 함께 했던 박훈정 감독님이 제 연기를 잘 봤다고 연락 주셔서 뿌듯했어요.”

②에서 이어집니다

사진=CJ엔터테인먼트 제공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