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들이 저축은행 사태로 궁지에 몰렸다.

5일 방송된 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는 저축은행 사태 피해자를 한 번 더 울리는 예금보험공사의 행태에 대해 보도했다.

지난 2011년, 부산저축은행을 시작으로 부실 저축은행들의 연쇄 파산 사태가 벌어졌다. 이 때문에 3만8000명의 저축은행 고객이 피해를 봤다. 상당수가 노후자금을 예치했던 장·노년층의 서민들이었고 노후 자금이 고갈된 피해자들은 아직도 일용직 등을 전전하며 하루하루를 버티고 있다.

저축은행 피해자들의 마지막 희망은 캄보디아의 캄코시티 사업이다.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 고급 주거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과거 부산저축은행이 2000억 원이 넘는 돈을 투자해 60%의 사업 지분을 확보했다.

현재는 파산한 부산저축은행을 대신해 예금보험공사가 사업 지분의 현금화를 추진하고 있다. 예금보험공사가 6000억 원 가량을 현금화한다면 전체 피해자들에게 피해 금액의 20%를 골고루 돌려줄 수 있다.

하지만 예금보험공사가 캄보디아에서 저축은행들의 채권 회수 작업을 제대로 하고 있는지는 의문. 최근에는 예금보험공사 캄보디아 지점의 한 직원이 300억 원이 넘는 채권을 1/3 정도로 줄여주는 대가로 10억 원 가량을 챙기려다 구속됐다. 캄코시티의 60% 지분을 회수하는 소송에서도 현지 고등법원이 불리하게 판결을 내리면서 벽에 부딪혀 있는 상황. 

사실 저축은행 연쇄 도산은 사태가 터지기 2년 전인 2009년에 막을 수 있는 결정적인 기회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검찰이 저축은행들의 연쇄 도산 사태의 시발점이 된 부산저축은행의 불법적인 투자를 확인했고 이를 금감원에 통보해 더 자세한 조사를 요청한 바 있다.

그러나 금감원은 이때부터 저축은행 사태 발발까지 2년의 시간이 있었는데도 사실상 손을 놓고 있었다. 그 사이 저축은행들은 더 많은 서민 자금을 끌어 모으다 결국 도미노 파산 사태가 터진 것. 당시 이명박 정부는 저축은행 사태에 대한 특검을 ‘야당에 유리하다’는 이유로 거부했던 사실이 뒤늦게 밝혀졌다. 

사진=MBC 탐사기획 ‘스트레이트’ 방송 캡처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