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서울 지역에서 주택 공급의 핵심 지표인 준공과 착공, 인허가가 모두 넉넉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연합뉴스

22일 연합뉴스 보도에 따르면 한국부동산원과 국토교통부 통계 시스템에서 올해 들어 지난 5월까지 서울 지역에서 주택 준공은 2만9475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3만6020가구)보다 줄었고 2019년(2만9190가구)과는 비슷한 수준이라는 결과가 나왔다.

주택 준공이 부진한 것은 과거 2∼4년 전 활발한 인허가가 이뤄지지 못했기 때문이다. 준공 건수의 감소나 정체는 입주 물량 부족으로 이어져 현재의 집값 불안이 지속할 수 있음을 뜻한다.

1∼5월 주택 착공은 1만7555 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2만7724가구)이나 재작년 동기(2만4410가구)와 비교해 많이 감소했다. 이 기간 선행 지표인 주택 건설 인허가는 3만915가구로 작년 같은 기간(2만2149가구)보다 39.6% 늘어 크게 증가한 것처럼 보이지만 최근 5년간의 1∼5월 평균 인허가가 2만9377가구임을 감안하면 시장에 안도감을 줄 정도로 충분하다고 하기 어렵다.

주택의 인허가나 착공이 압도적으로 이뤄지지 않으면 향후 3∼4년 후에도 공급 부족이 해소되긴 어렵다. 정부는 2·4 대책에서 서울 도심에 33만호의 주택을 공급하기로 했으나 현재 공공 재개발이나 재건축 부지를 선정하거나 주민 동의를 받는 과정이어서 언제 주택 건설에 착수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

작년 8·4 공급 대책의 핵심이었던 태릉골프장(1만가구)과 용산 캠프킴(3100가구) 개발은 주민 반발과 지방자치단체의 이견으로 우려를 자아내고 있고 서부면허시험장(3500가구)과 상암DMC 용지(2000가구) 개발도 주민 반발 등으로 난항이 예상된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