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신입 구직자는 평균 16회 입사지원했으며 최종 전형 합격 횟수는 1회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최종합격률은 7%다.

사진=인크루트 제공

이달 10일부터 13일까지 나흘간 취업포털 인크루트와 바로면접 알바앱 알바콜이 구직자 733명을 대상으로 공동 설문조사했다.

먼저 올해 구직활동을 통해 취업에 최종 합격한 대상은 전체 응답자의 47.4%로 이 가운데 신입구직자 비율은 45.8%로 평균보다 다소 낮았다. 이들은 올해 평균 16곳에 입사지원서를 제출했고 지원한 기업 형태는 중소기업이 27.3%(복수응답)로 가장 많았고 중견기업(27.0%), 대기업(19.6%), 공공기관(17.6%) 순이었다.

전형 별 합격통보는 서류전형>필기(인적성)전형>면접전형 순으로 각각 5.5회, 2회, 1.5회를 기록했다. 최종합격률이 6.9%로 집계된 가운데 각 전형별 합격률은 서류전형(34.4%), 필기전형(12.5%), 면접전형(9.4%)로 나타났다.

최종탈락률이 93%에 달했던 2019년 신입구직 합격과 불합격을 가른 배경으로는 면접과 경쟁률이 주효했다. 합격자를 대상으로 합격 요인을 꼽게 한 결과 '면접을 잘 본 편'(24.5%)이 가장 많았고 '경쟁률이 비교적 적은 직무,기업에 지원해서'(13.8%)가 두 번째로 많이 득표했기 때문이다. 이어서 ’자격증 보유’(13.3%) ’자기소개서 작성이 잘 된 편’(12.9%) ’인턴, 직무경험 보유’(11.2%) 등을 합격의 숨은 공신으로 내다봤다.

반대로 자가 진단한 실패 요인 중에서는 ’경쟁률이 높은 직무,기업에 지원해서’(15.2%)와 ’면접을 잘 못 봐서’(14.9%)가 근소한 격차로 1,2위에 올라 앞서 합격 요인과 정확히 일치해 희비를 자아냈다. 또한 불합격 이유 3번째로는 ’학점,어학점수 등 스펙’(12.5%)이 꼽혔는데 합격자들이 합격 요인으로 ‘스펙’을 선택한 비율은 5.9%에 그쳤다.

즉 떨어지는 경우 많은 부분 스펙 부족이라고 여기지만 정작 스펙 때문에 붙었다고 보는 경우는 드문 것이다.  아쉬운 점은 탈락 요인 4위에 ’잘 모르겠다’(9.8%)가 오른 것으로 당락을 가른 이유에 대해 구직자 자신도 알 수 없어 향후 전략을 세우는 데 어려움이 따른다는 사실이다. 또한 불합격자의 69.2%는 내년에도 계속해서 입사지원 할 것이라고 계획을 전했다.  

한편 인크루트의 지난해 설문결과에 따르면 2018년 구직자들은 평균 22곳에 지원해 최종 1.7곳에서 합격 통보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종합격률 8%로 전년 대비 올해는 1%P 떨어졌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