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박근혜 청와대는 무려 9년간 사찰과 외압, 부역자 기용, 무자비한 축출을 통해 방송사 데스크 역할을 자임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21일 방송된 SBS '그것이 알고 싶다'의 ‘몸통은 응답하라, 방송장악과 언론인 사찰의 실체’ 편에서는 지난 정권의 방송장악 과정을 파헤쳤다.

이명박, 박근혜 전 대통령은 한결같이 방송 인터뷰를 통해 “방송의 공정성과 중립성, 사회적 책임”을 거론하면서 “방송을 장악할 의도도 없고, 불가능한 환경이다”고 강변했다. 하지만 두 전임 정권은 반대의 목소리에 재갈을 물리고, 방송을 정권 홍보 수단으로 삼기 위해 치밀하고도 교활한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했다.

지난 2010년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시원관실 소속 원충연의 수첩 안에 담긴 방송사 세무조사와 'PD수첩 정리' 기획, 방송사 PD와 기자들의 근황, 정재계 인사들은 물론 민간인 사생활 사찰 내용이 알려진 뒤 세상이 발칵 뒤집혀졌으나 부실수사 논란 속에 사건은 일단락됐다.

하지만 민간인 사찰사건의 몸통이 될 만한 자료가 ‘그것이 알고 싶다’를 통해 공개됐다. 민간인 사찰 피해자들의 변론을 담당한 최강욱 변호사는 수만장에 이르는 당시 검찰 조사 기록을 보관하고 있었다. 여기엔 민간인 사찰에 청와대가 개입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BH(청와대) 하명’ 등의 내용이 담겨 있다. 이 전 대통령은 2009년 10월, 불법을 저지른 이들을 “몸 던져 열심히 일한 사람”이라고도 표현했다.

앞서 이 전 대통령은 2008년 광우병 촛불시위가 한창일 때 대국민 사과를 하고는 한 달 뒤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을 만들었다. 담당 책임자는 MB의 심복인 원세훈 당시 행정안전부장관이었다. 이곳에선 제일 먼저 언론인, 민간인을 사찰했다. 정권을 비판하면 감시, 표적 대상이 됐고 불이익을 당했다.

공직윤리지원관실은 방송이 되지도 않은 ‘PD수첩’ 원고를 입수, 방송에 대한 대응방안도 마련하고 있을 정도였다. 이용훈 전 대법원장, 우리법연구회 소속 판사들, 방송인 김미화와 고 장자연 등도 사찰 대상이었다. 하지만 청와대 비선의 정점에 있던 박영준 전 국무차장, 최종석 전 행정관을 비롯해 사찰에 가담했던 50여명의 공직윤리지원관실 직원들은 제대로 조사 한번 받지 않은 채 소속 부서로 복귀해 영전을 거듭했다.

 

 

2010년과 2011년에 걸쳐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김인규 KBS 사장, 김재철 MBC 사장, KBS 이사회와 MBC 방문진 이사진 등으로 방송언론계 친위부대 진영을 짠 뒤 정권의 방송 장악이 무차별적으로 이뤄졌다. 민간방송사인 SBS의 경우 내부에서 보도를 통제해왔던 인사들이 청와대로 건너갔다. 그런 임원은 무려 6명에 이른다.

프로그램 후반부에 또 하나의 메가톤급 폭로가 소개됐다. 더불어민주당 이재정 의원이 박근혜 전 대통령 시절 청와대 비서실장 주재 수석비서관 회의 자료를 공개했다. 자료에는 '비판 세력들의 주된 활동 사이버 공간이 네이버라면 그 경영진을 설득, 순화시켜야 한다' '종편에 몇몇 패널 고정출연 상황하에서 정부 우호적 패널 발굴, 확보 필요' 등이 적혀 있었다. 중요한 국정 현안을 논의할 회의에서 절반 가까이가 언론 컨트롤 방안 및 정권 홍보를 집중 거론했다. 자세히 들여다보면 박 전 대통령도 회의 내용을 알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천호선 참여정부 시절 당시 홍보수석비서관은 "이렇게 체계적으로 했기 때문에 그동안 박근혜 정부가 수없이 많은 잘못과 불법, 권력남용을 했음에도 보도가 안됐던 것“이라며 ”이명박 정부에서 언론장악을 시작해 박근혜 정부에서 완성했다”고 평가했다.

 

사진= SBS '그것이 알고 싶다' 캡처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