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27일 조국 법무부장관의 자택 압수수색 당시 현장검사와의 통화 논란에 대해 “사건의 본질은 수사정보 유출이 아니라 수사압력”이라는 입장을 내놓은 가운데 최민희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8일 자신의 SNS에서 우병우 전 민정수석이 검찰수사 대상에 올랐을 때 안태근 법무부 검찰국장과 1000여차례 통화했던 일을 떠올리며 반박했다.

사진=연합뉴스

2017년 3월 3일 한겨레신문에 따르면 안태근 법무부 검찰국장은 우병우 전 청와대 민정수석이 검찰 수사 대상에 오른 지난해 7월부터 10월 사이에 우 전 수석 쪽과 1000차례 이상 통화했다. 이 시기 김수남 검찰총장이 우 전 수석에게 수차례 먼저 전화를 걸어 통화한 사실도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확인했다.

이를 지적하며 최 전 의원은 “그때 검찰 반응은?”이라며 “조 장관과의 짧은 통화가 외압이라는 검찰, 우병우와 검찰국장이 1000여 차례 통화할 때는 왜 외압이라고 야당 의원에게 알리지 않았나?”라고 따져물었다.

최 전 의원은 “조국 장관의 검찰 압수수색 팀장과의 ‘순간 통화’가 문제가 있다 치자”며 “아내가 쓰러지기 일보직전 다급한 저간의 사정을 들어보면 이해가 가는 게 인지상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런데 검찰은 외압이라 규정하고 내부 정보통 라인을 굴려 자한당에 고하고 자한당은 탄핵 운운하고”라며 “그게 탄핵감이라는 게 말이 되나”라고 반문했다.

최 전 의원은 “우병우의 전화는 ‘한통속’이라 당연하고 조국 장관의 호소는 ‘검찰개혁을 하려는 적’이라 외압으로 침소봉대해 조국 장관을 공격하는 거 아닌가”라고 힐난했다. 더불어 “이번 전화 파동과 우병우 1000차례 통화에 대한 검찰 대응을 보면 몇 가지가 정리된다”고 밝혔다.

그는 “우선 검찰은 ‘검찰편과 아닌 편’으로 구분해 니편 내편에 대한 대응이 다르다는 것”이라며 “검찰이 수사‧기소 과정에서도 니편엔 가혹하고 내편엔 관대했던 사례들을 반추해볼 때 소름끼치는 분들이 계실 듯하다”고 말했다.

또 “검찰이 자신과 한통속이거나 검찰에 고분고분한 법무부장관을 앉혀 이후 국회 논의 과정에서 검찰을 대변하게 하겠다는 것”이라며 “검찰개혁을 검찰 손바닥 위에서 컨트롤하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