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남녀 18.8%가 아이를 낳을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더불어 출산 계획이 있는 경우, 이들이 생각하는 평균 출산 시기는 결혼 후 '1년9개월'이며 희망 자녀수는 '1.8명'으로 집계됐다.

 

 

결혼정보회사 듀오가 운영하는 듀오휴먼라이프연구소에서 '미혼남녀의 출산 인식'을 조사·연구해 9일 보고서를 공개했다.

자녀 출산 인식을 담은 '대한민국 2030 결혼 리서치' 보고서는 전국 25세 이상 39세 이하 미혼남녀 1000명(남성 489명, 여성 511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6일부터 11월 20일까지 설문 조사를 진행해 작성됐다.

전체 응답자의 59.7%는 '결혼 후 2년 이내'에 출산할 계획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아이를 '낳지 않겠다'는 응답이 18.8%를 차지했다. 특히 여성(22.9%)이 남성(14.5%)보다 '낳지 않겠다'는 의견이 더 많았다.

희망하는 자녀 수는 '2명'(48.3%)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1명'(23.5%), '낳지 않겠다'(19.9%)가 뒤를 이었다. 해당 문항 역시 여성(24.1%)이 남성(15.5%)보다 '낳지 않겠다'고 답한 비율이 높았다.

또 미혼 과반수(74.5%)가 맞벌이를 선호했다. 여성(71.6%)보다는 남성(77.5%)이, 연령이 낮을수록(25~29세 77.6%, 30~34세 75.7%, 35~39세 71.4%) 맞벌이를 희망했다.

이들은 출산 시 '육아에 드는 시간과 노력'(38.3%)과 '양육비용'(24.4%), '사교육비 부담'(20.4%)을 가장 많이 걱정했다.

미혼남녀는 '부모님과의 동거'를 걱정되는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삼기도 했다. 부모님과의 동거를 원하는 남녀는 10명 중 1명(13.7%)에 불과했지만 동거를 원하는 이유로 '자녀로서의 의무'(35%), '자녀 양육 부담 해소'(27.7%)가 나란히 지목됐다. 이어 '가족 문화 습득'(15.3%), '생활비 절약'(12.4%) 등이 있었다.

 

 

'육아로 인한 경제적 부담'(29%)과 '일과 가정 양립의 어려움'(28.5%)은 저출산 원인으로도 지목됐다. 이어 '결혼 지연과 기피 의식'(14.9%), '실효성 없는 국가 출산 정책'(9.7%), '사회·미래에 대한 막막함·두려움'(8.6%) 등이 뒤따랐다.

저출산 해결을 도와줄 효과적인 정책으로는 '보육 지원'(27.8%)과 '출산 지원'(25.8%), '주거 지원'(17.4%) 등이 꼽혔다.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은 '출산 지원'(27.6%)과 '보육 지원'(23.9%), '주거 지원'(20.9%) 순으로 출산 장려에 도움이 된다고 답했다. 여성은 '보육 지원'(31.5%), '출산 지원'(24.1%), '경력 단절 예방 지원'(15.7%) 등을 차례로 택했다. 특히 여성의 '경력 단절 예방 지원'에 대한 수요는 남성보다 약 3배 가량 높았다. 이는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2월 26일 발표한 저출산 대책인 '일 하며 아이 키우기 행복한 대한민국' 내용과도 일맥상통한다.

 

 

국가 정책에 거는 기대는 긍정적으로 바뀌었다. 2016년 조사 결과에서는 정부의 저출산 정책이 출산 의지에 '부정적'(48%)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으나, 2017년 조사 결과는 '보통'(47%)이 가장 많았다.

박수경 듀오 대표는 "저출산 문제는 미래에 대한 비관과 현재의 삶을 중시하는 가치 변화와 더불어 사회문제가 복합적으로 연동된 결과"라며 "한 번에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이지만 경제적 부담과 일과 가정의 양립을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지원이 이뤄진다면, 젊은 세대들이 미래에 거는 기대가 높아져 근본적 문제 해결이 가능할 것이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진 제공=듀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