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운 감독이 애플TV+(AppleTV+) 첫 한국어 오리지널 ‘Dr. 브레인’(닥터 브레인)으로 돌아왔다. 홍작가의 웹툰을 원작으로 한 ‘Dr. 브레인’은 김지운 감독의 첫 드라마 연출작이자, 첫 OTT 도전이기도 했다. 

사진=애플TV+
사진=애플TV+

사고로 가족을 잃은 천재 뇌과학자 고세원(이선균)이 뇌동기화를 통해 진실을 집요하게 파헤치는 이야기를 그린 작품으로 매회 1회씩 애플TV+를 통해 공개된다. 

첫 드라마 작업에 대해 감독은 “미장센보다는 스토리를 정확하게 전달하는데 중점을 뒀다”며 “분량이 많다보니 영화 작업보다 좀 더 빠르고 기민하게 판단해야 하는 부분들이 있었다”고 설명했다. 또 “각 에피소드 마다 이야기 완결성을 가져가되, 다음 편을 기대하게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는 걸 느꼈다. 그게 시리즈 드라마의 매력이자 특징이 아닐까 생각이 들었다”고 밝혔다. 

“여러가지 장르들이 에피소드마다 녹여져 있다. 1화는 궁금증을 유발시키기 위해 서스펜스를 강조했다. 매회 각기 다른 장르를 구사했다. 의도는 아니지만 이야기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까 고민하다 보니 매회 장르가 조금씩 달라졌다. 누아르, 미스터리 스릴러, 가다보면 휴머니즘이 더 강화된 부분도 있다. 영화를 통해 여러 장르를 시도했는데, 그런 영화적 특징들이 이번 작업을 하면서 보이지 않았나 싶다”

사진=애플TV+
사진=애플TV+

기본적으로 내러티브가 탄탄하다는 평가를 받는 홍작가의 작품 중에서도 ‘Dr. 브레인’을 선택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했다. 김지운 감독은 우선 소재를 꼽았다. 

“사람의 뇌를 들여다 본다는 것 자체가 무척 흥미를 끌었고, 그래픽 노블체의 그림이었다. 누아르풍 명암이 강조 되면서 그 스타일과 컷이 인물의 심리를 과감하게 보여줬다.높은 완성도의 그림체가 마음에 들었던거 같다. 이 웹툰의 분위기를 그대로 가지고 가기만 해도 잘 보여줄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

사진=애플TV+
사진=애플TV+

하지만 뇌과학은 쉽지 않은 영역이었다. 시청자들에게 잘 전달하기 위해서는 감독 스스로도 납득이 필요했다. 때문에 뇌과학 관련 서적을 꾸준히 찾아보고, ‘뇌를 연구하는 물리학자’로 유명한 정재승 박사에게 자문을 구했다.

“한국에 뇌과학이라는 분야를 가장 대중적이고 친숙하게 전달해주신 정재승 박사님께 많은 부분의 자문을 받았다. 사람의 뇌를, 혹은 기억을 들여다보는 것이 이론적으로 가능한가에 대해 풀어야했다. 이론적으로는 가능하고, 쥐 실험을 통해서 다른 쥐에게 기억을 옮기는 걸 성공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이런 실험들을 전제로 좀 더 드라마적인 요소를 끌어와서 만들려고 했다”

②에 이어집니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