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년간 전체 가구의 주거빈곤율은 감소하는 추세지만, 청년가구의 주거빈곤 문제는 여전히 심각했다.
 

사진=연합뉴스

28일 통계청은 통계플러스를 발간하며 2015년 기준 가구주 연령 20~34세 청년가구 중 11.3%에 해당하는 29만가구가 최저주거기준(가구원 수별 최소주거면적, 필수설비 등을 규정한 기준) 미달 가구였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청년가구의 최저주거기준 미달은 전체가구 미달률 8.2%보다 높았다. 최저주거기준을 충족시키려면 1인 가구의 경우 방 1개의 주거면적이 14㎡ 이상이고, 입식부엌·수세식 화장실·전용 목욕시설 등 필수설비가 갖춰져 있어야 한다. 

최저주거기준에는 포함되지 않는 청년이라 하더라도, 비교적 주거환경이 열악한 지하·옥상이나 주택 외 기타 거처에서 거주하는 주거빈곤 상태에 있는 청년가구가 총 45만가구(17.6%)에 달했으며, 전체 주거빈곤율 12%보다 높은 수치이다. 이러한 결과는 주택의 공급 확대라는 총량적 접근보다는 주거빈곤 가구의 감소를 위한 맞춤형 주거복지 정책의 확대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국 전체 가구의 주거빈곤 가구 비율은 1995~2015년 46.6%에서 12%로 감소했다. 그럼에도 청년가구는 전체 가구의 주거빈곤율 감소에도 홀로 증가세를 보였다. 서울 1인 청년가구의 주거빈곤 가구 비율은 1995~2000년 58.2%에서 31.2%로 감소한 뒤 2005년 34%로 소폭 증가했으며, 2010년에는 36.3%, 2015년 37.2%로 꾸준히 증가했다. 청년가구의 경우 주거환경이 개선되지 않는 현상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