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전 대통령이 검찰 조사 보이콧과 동시에 페북정치를 시도해 지지층 결집을 꾀하는 것이 아니냐는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

 

사진= 이명박 전 대통령 페이스북 캡처

이 전 대통령의 변호인인 강훈 변호사는 26일 기자회견을 통해 "오전 접견에서 이 전 대통령이 의논 끝에 검찰 조사에 응하지 않겠다고 말씀하셨다"며 "방금 검찰에 이런 의사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당초 검찰은 이날 오후 2시 MB가 수감 중인 동부구치소를 찾아 조사를 벌일 예정이었다.

강 변호사는 검찰 조사 보이콧 이유에 대해 "전직 대통령으로서 법을 준수하는 차원에서 지난 검찰의 소환조사에 응하고 대통령께서는 모든 책임을 자신에게 물을 것을 여러 차례 천명했다"면서 "하지만 구속 후에도 검찰은 함께 일한 비서진을 비롯해 주변 사람을 끊임없이 불러 조사하고 있고, 일방적인 피의사실도 무차별적으로 공개하고 있다"고 검찰을 비판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공정한 수사를 기대하는 것은 무망하고, 검찰의 추가조사에 응하는 것도 무의미하다고 판단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런 가운데 이 전 대통령은 천안함 8주기인 이날 "통일되는 그날까지 매년 여러분을 찾겠다는 약속을 지킬수 없게 되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합니다"라는 친필 메시지를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을 통해 자신의 페이스북에 올렸다.

이어 "비록 직접 찾아가 만나지는 못하지만 여러분의 조국에 대한 헌신은 결코 잊지 않고, 가슴 깊이 새기고 있습니다"라며 "제 대신 저와 함께 일한 참모들이 참배하는 것으로 저의 안타까운 마음을 전합니다"라면서 참모들이 참배하는 사진을 같이 올렸다. 자신의 구속수감에 대한 불만을 우회적으로 드러내는 동시에 보수층의 안보심리를 자극해 지지층 결집을 위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