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ㆍ고령화의 영향으로 8년 뒤 전국 17개 시도에서 모두 혼자 사는 ‘1인가구’가 ‘부부+자녀가구’를 넘어 대세로 자리잡을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10일 통계청의 '장래가구추계 시도편: 2015∼2045년'에 따르면, 2015년 기준으로 전국적으로 가장 주된 가구유형은 '부부+자녀가구'(32.3%·613만2000가구)였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울산·세종·경기·경남·제주 등 11곳에서 ‘부부+자녀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형태였다. 나머지 시도에서는 1인가구가 가장 주된 가구유형이었다. 하지만 2026년 17개 모든 시도에서 가장 주된 가구유형은 1인 가구(36.3%, 809만8000가구)가 될 전망이다.

전국적으로 봤을 때 1인가구 비율이 1위가 되는 시기는 내년(29.1%)이지만, 17개 시도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는 시점은 2026년이라고 통계청은 전망했다.

통계청은 "시도별 주된 가구유형은 2000년에는 전국 모두 부부+자녀가구로 적어도 가구원이 3인 이상이었다"며 "보통 가구는 부부와 아이가 있는 형태였지만, 현재 저출산 고령화가 지속되면 그렇지 않은 모습이 나타날 것"이라고 분석했다.

2015년까지 대세를 유지했던 ‘부부+자녀가구’의 비중은 급감할 것으로 보인다. 오는 2045년 세종(19.4%)에서 가장 높지만, 전남(9.3%)에서 가장 낮을 것으로 예상된다. 2015∼2045년까지 모든 시도에서 부부+자녀가구 비중이 감소할 전망이지만, 그 중 울산은 19.7%포인트 낮아져 그 폭이 가장 클 전망이다. 가장 적게 감소하는 세종도 13.0%포인트 떨어질 것이라고 통계청은 내다봤다.

2015∼2045년까지 부부가구는 모든 시도에서 늘어나지만, 자녀가 있는 부(모)+자녀, 3세대 이상 가구는 대부분 시도에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부부가구 비중이 가장 큰 폭으로 증가하는 시도는 울산으로 10.0%포인트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전남은 0.2%포인트 증가에 그치는 것으로 분석됐다.

 

 

부부가구 비중은 2015년 전남(20.4%)이 가장 높고 광주(13.2%)가 가장 낮았지만, 2045년에는 울산(25.7%)이 가장 높고 충북(18.8%)이 가장 낮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또한 가구주 연령은 고령화로 인해 모든 시도에서 60세 미만 부부가구 비중은 줄고, 60세 이상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3세대 이상이 함께 사는 가구는 모든 시도에서 줄어든다. 특히 3세대 이상 가구 비중은 인천·경기·제주 등이 가장 큰 3.0%포인트 줄어들 것으로 예측됐다. 2015년 3세대 이상 가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6.7%), 가장 낮은 곳은 광주·울산(4.7%)이지만, 2045년에는 경남·제주(3.7%)가 가장 높고 광주·대전(2.3%)이 가장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

2015∼2045년간 전체 부부가구 비중은 15.5%에서 21.2%까지 증가하고 한부모자녀 가구는 10.8%에서 10.1%로, 3세대 이상 가구는 5.4%에서 2.9%로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같은 기간 저출산 등 영향으로 가구원 수가 많을수록 점점 더 빠른 속도로 비중이 줄어드는 모습을 보였다. 고령화 영향으로 가구주 연령도 전반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측됐다.

전체 2인가구 비중은 26.1%에서 35.0%로 증가하고, 3인가구는 21.5%에서 19.8%로, 4인가구는 18.8%에서 7.4%로 줄어들 것으로 통계청은 전망했다.

 

사진= 연합뉴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