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빠르게 확산하면서 유럽과 아시아 영화제가 잇따라 일정을 연기하거나 취소하고 있다. 이에 세계 3대 영화제 중 하나인 칸국제영화제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전세계 영화인들의 이목이 쏠리고 있다.

EPA=연합뉴스

3일 인디와이어 등 외신에 따르면 5일(현지시각) 그리스에서 개막 예정이던 올해 제22회 테살로니키 다큐멘터리영화제가 개최 일정을 연기했다. 영화제 측은 성명을 내고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국내외 관객과 시민, 스태프 안전을 고려해 일정을 연기한다며 5월 말, 6월 초 개최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다음 달 6일 스위스에서 개막을 앞둔 제네바 국제인권영화제도 결국 일정을 모두 취소했다. 스위스 정부가 1000명 이상 모이는 모든 행사를 금지한 데 따른 조치다. 2003년 처음 열린 이 영화제에는 해마다 30개국 4만여명이 참석했다.

앞서 올해 제22회 이탈리아 우디네 극동영화제도 당초 개막일을 4월 24일에서 6월 26일로 연기했다. 아시아권 역시 마찬가지다. 국내에서는 대종상 시상식 등이 일찌감치 연기된 데 이어 3월 24일 개막 예정이던 제44회 홍콩국제영화제도 개최 일정을 여름으로 변경했다. 4월 15일 개막하는 제10회 베이징 국제영화제도 예정대로 열릴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EPA=연합뉴스(코로나19 확산 우려로 임시 폐관한 루브르 박물관)

이런 가운데 세계 최대 영화제인 칸국제영화제가 예정대로 열릴지 주목된다. 올해 73회째를 맞는 칸국제영화제 일정은 5월 12일부터 23일까지다. 그러나 최근 프랑스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190명을 넘어서며 빠르게 확산할 조짐이 보이자, 프랑스 정부는 당분간 제한된 장소에서 5000명 이상 모이는 행사를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칸영화제 측도 상황을 면밀히 모니터 중이다. 칸영화제는 지난달 28일 성명을 내고 “아직 일정이 두 달 반 남은 만큼, 코로나19가 칸영화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추정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국내외 관계 당국이 제공하는 최신 가이드라인과 진행 상황을 주의 깊게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칸은 이탈리아와 국경이 근접한 지역이다. 이탈리아에선 칸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북부 롬바르디아 지역을 중심으로 코로나19 누적 확진자가 2000명을, 사망자는 50명을 넘어설 정도로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

칸영화제에 앞서 이달 30일부터 4월 2일까지 칸에서는 방송콘텐츠 영상 마켓 밉티비(MIPTV)가 열린다. 100여개국 2800개 방송사, 1만명 내외의 방송 전문가가 참가하는 세계 최대 규모 방송콘텐츠 영상 마켓이다. 한국은 올해 첫 주빈국으로 선정돼 다양한 행사를 계획하고 있다. 그러나 이 행사 역시 일정대로 개최될지는 불투명하다. 밉티비 측은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