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담당자 5명 중 3명은 취업공백이 생기는 것을 피하기 위해 졸업유예를 선택하는 것이 무의미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잡코리아가 최근 인사담당자 679명을 대상으로 ‘졸업유예 평가여부’에 대해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지난해 11월 아르바이트 대표포털 알바몬이 올 2월 졸업을 앞둔 대학 졸업예정자 4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을 당시, 응답자의 55.0%가 ‘졸업을 유예할 계획’이라고 답한 바 있다. 이들은 졸업유예를 하려는 가장 큰 이유로 ‘재학생 신분이 취업에 유리할 것 같아서’(62.9%)를 꼽았었다.

하지만 실제 인사담당자들의 의견을 살펴보면 졸업 유예가 그다지 의미 있지 않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60.2%가 ‘의미 없다’고 답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는 ‘취업공백이 그다지 중요한 평가사안이 아니라서 무의미하다’는 응답이 47.1%로 절반에 가까웠다. 또 ‘8학기를 초과한 졸업 소요기간과 취업공백이 다를 바가 없다’며 역시 무의미하다고 답한 인사담당자도 13.1%로 나타났다. 반면 39.8%의 인사담당자는 ‘취업공백보다는 입학 후 졸업까지의 공백이 더 유리할 수 있다’며 졸업유예도 ‘해볼만하다’고 답했다.

특히 인사담당자 대부분은 졸업 이후 취업까지 걸린 공백의 기간보다는 이유, 즉 내용이 더 중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지원자가 졸업 이후 일정기간 이상 공백이 있는 경우 평가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물은 결과 ‘일정 기간 이상 공백이 있는 경우 평가에 불리할 수 있다’는 응답은 17.5%에 불과했다.

반면 43.3%는 ‘공백 기간에 대한 납득할만한 설명이 불가능한 경우 불리할 수 있다’고 답했으며, 22.8%는 ‘적절한 자기계발의 시간이었다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면 오히려 유리할 수 있다’고 답하는 등 이유에 따라 유·불리가 바뀌는 응답이 무려 66%에 달했다. 반면 16.3%의 인사담당자들은 ‘졸업 후 취업까지 공백기간이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답하기도 했다.

한편 앞선 질문에서 공백 기간이 있는 경우 기간이나 이유에 따라 ‘불리할 수 있다’고 밝힌 인사담당자 413명(60.8%)에게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졸업 후 공백 기간의 마지노선을 물은 결과 평균 9.5개월로 집계됐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6개월 내외가 20.9%로 가장 많았으며, △1년 내외(18.9%), △3개월 내외(11.6%) 순이었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