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에 이어서...

정유미가 ‘82년생 김지영’에서 지영을 연기하며 어려워했던 지점은 엄마의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어떻게 하면 자연스럽게 엄마 지영을 관객에게 선보일 수 있을지 그는 고민했다. 그 해답은 멀리 있지 않았다. 가까운 지인들, 그리고 엄마로 살아가는 김도영 감독에게서 아이디어를 얻어냈다.

“보통 엄마들이 노메이크업으로 있다고 하던데 제 동생 와이프를 보면 애기 낳아도 예쁘게 화장하더라고요. 그래서 지영이를 표현하는 데 적정선을 유지하려고 했죠. 민낯일 때도 있고 화장할 때도 있을 테니까요. 가끔 동생 와이프 사진을 보면 애기 이유식 먹인다고 옷이 엉망진창 돼 있을 때도 있더라고요. 그런 모습을 보면서 지영이도 엄마로서 어떤 마음인지 조금 이해하게 됐어요.”

“김도영 감독님은 배우 출신이셔서 제가 연기하는데 큰 도움이 됐죠. 저는 원래 감독님께 말을 거는 스타일이 아니에요. 그런데 우리가 함께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이 같으면 믿음이 생겨 말을 하게 돼요. 현장에서 감독님은 제가 연기할 때 어려운 지점들을 콕 집어주셨어요. 호흡 내뱉는 것도 하나하나 신경쓰셨죠. 보통 감독님들이 그런 디테일한 디렉션까지 주시진 않거든요. 감독님은 물론 ‘82년생 김지영’ 촬영 현장에 여성 영화인들이 참 많았어요. 그렇다고 이전 작품들과 큰 차이를 못 느꼈어요. 늘 한결 같았죠.”

‘82년생 김지영’은 지영만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우리의 엄마, 그리고 남성의 삶도 디테일하게 말해준다. 남녀가 서로 공존하며 살아가는 삶, ‘82년생 김지영’이 바라는 세상은 이런 것이었다. 정유미도 영화가 한쪽으로 치우치는 것이 아닌 모두가 공감하고 위로받을 수 있는 작품이라는 걸 강조했다.

“영화에서 공유 오빠가 연기한 대현이란 캐릭터는 지영에게 절대적인 믿음을 보여주죠. 그런 캐릭터가 있었다는 게 좋았어요. 남편이라면 아내를 위해 그렇게 해야한다고 생각하거든요. 하지만 주변에서는 그런 남편은 찾기 힘들다고 하더라고요. 대현 같은 남편, 아빠, 아들도 얼마든지 주변에 많다는 걸 이 영화를 통해 확인하실 수 있을 거예요.”

“‘82년생 김지영’을 찍으면서 뒤늦게 깨달은, 여성으로서 받는 차별은 없었어요. 오히려 그냥 사람이니까 받는 차별이 생각났죠. 다만 제가 그런 일을 겪어도 속에 담아두는 성격이 아니라서 ‘그냥 그랬구나’ ‘뭐 그랬겠지’ 하고 넘어가요. 솔직히 이번 영화를 통해 이전에 일어났던 논란, 갈등이 커지지 않길 바라요. 소설도 영화도 한쪽만 바라보는 건 아니거든요. 현실에 있는 일을 보여줬고 영화엔 남녀의 다양한 이야기들이 담겨 있으니 이 점을 곱씹어 보셨으면 하는 바람이에요.”

정유미의 배우 인생에 중요한 건 ‘자연스러움’이었다. 배우라는 직업 때문에 산전수전 다 겪을 일들이 많지만 그는 이에 신경쓰지 않고 나다운 것을 유지하려고 애썼다. ‘82년생 김지영’의 지영처럼 자신을 찾아가려는 정유미의 다음 챕터가 기대되지 않을 수 없다.

“‘잘 알지도 못 하면서 뭘 안다고. 나에 대해서 뭘 안다고!’ 말하는 지영의 대사가 가장 공감됐어요. 배우라는 직업으로 살면서 연예인이니까 감수해야하는 일들이 참 많잖아요. 사실이 아닌데 사실로 포장되는 것들. 제가 잘못한 게 없는데 잘못한 것처럼 되는 일들을 마주하게 되면 지영의 대사가 또 다시 생각날 거예요.”

“‘82년생 김지영’ 이후 ‘보건교사 안은영’으로 대중과 만나게 돼요. 본의 아니게 두 작품 모두 캐릭터 이름이 들어갔네요? ‘보건교사 안은영’은 ‘82년생 김지영’ 출연 결정 전부터 이야기가 오갔던 작품이었어요. 두 작품 모두 저한테 와서 고마워요. 저의 자연스러운 연기를 보여드릴 수 있는 작품들이니까요. 저는 자연스러운 걸 좋아해요. 가만히 멍을 때리든, 영화를 보든, 여행을 가든, 그 모든 게 배우 일을 잘 하기 위한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지금도, 나중에도 자연스럽게 제 인생이 흘러갔으면 좋겠어요.”

사진=매니지먼트 숲 제공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