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 최대의 명절 설을 맞아 차례상차리기와 제사 지방 쓰는 법에 대한 관심이 솟구치고 있다.

사진='차례상 차리기' 어플 캡처

먼저 조상에 대한 예를 지내는 차례상을 차릴 때 1열에는 시접,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떡국을 올린다. 2열은 어동육서로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을 향한다. 이때 두동미서로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을 향하게 한다.

3열에는 생선, 두부, 고기탕 등의 탕류를 놓는다. 4열은 좌포우혜로 좌측 끝에는 포, 우측 끝에는 식혜를 놓는다. 5열은 조율이시로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서이다. 이때 홍동백서로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는다.

차례상을 준비할 때 유의해야 할 사항으로는 복숭아와 삼치, 갈치, 꽁치 등 끝에 '치'자가 든 음식은 올리지 않는다. 또한 고추가루와 마늘 양념을 사용하지 않는다. 그리고 붉은 팥 대신 흰 고물을 사용한다.

지방이란 제사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것으로, 돌아가신 이의 이름과 날짜를 적은 위패인 신주가 없을 경우 임시로 종이에 적은 위패다. 일반적으로 지방은 폭 6cm, 길이 22cm 정도를 이용하며 한지(백지)에 붓으로 작성한다. 한자로 쓰는 것이 전통이지만 최근 한글로 작성하기도 한다.

지방에는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顯)자를 쓰고 제주(제사를 모시는 사람)와 관계, 고인의 직위, 부군(府君) 또는 고인의 본관과 성씨, 신위(神位) 순으로 쓰면 된다.

제주와 관계에 따라 아버지는 상고할 고(考), 어머니는 죽은 어미 비(位), 할아버지는 조고(祖考), 할머니는 조비(祖位), 증조 이상에는 증(曾) 자와 고(高) 자를 앞에 붙인다. 조상이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 벼슬 이름을 쓰고, 여자 조상은 남편의 급에 따라 나라에서 받은 호칭을 쓴다.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學生)', 여자 조상은 '유인(孺人)'이라고 적는다. 마지막으로 벼슬 뒤에 이름을 적고 남자 조상은 부군(府君), 여자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적으면 된다.

지방 쓰는 법을 기억하기 어렵다면 '제사의 달인'이나 '착한 제사' 등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면 편리하다.

 

저작권자 © 싱글리스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